Kwun, Suncheol

권순철 (b.1944)

서울대학교 대학원 회화과 졸업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개인전


2021 <CHOEL>창성동 실험실, 서울 

2020 가나아트센터, 서울

2019 올미아트스페이스, 서울

2018 경남은행갤러리, 경상남도 창원

2016-2017 영혼의 빛-예수, 가나아트센터, 서울

2016 대구미술관, 대구

2015 봉산문화회관, 대구

2012 아라아트, 서울

가나아트센터, 서울

갤러리 손, 베를린

2010 가나아트 뉴욕, 뉴욕

2007 가나아트 부산, 부산

2004 가나아트센터, 서울

2003 두산갤러리, 대구

현대미술관, 트루아, 프랑스

2001 갤러리 가나 보부르, 파리

갤러리 홍익, 뉴욕

2000 갤러리 가나 보부르, 파리

인사아트센터, 서울 

1998 가나화랑, 서울

1997 갤러리 가나 보부르, 파리

1996 가나화랑, 서울

1993 제4회 이중섭미술상 수상 기념전, 조선일보미술관, 서울

1992 프랑크 하넬 화랑, 프랑크푸르트

1991 가나화랑, 서울 

바또 라브와르 화랑, 파리

1990 FORUM, 뒤셀도르프

1988 스톡홀름 미술대전, 스톡홀름

가나화랑, 서울

1986 서울미술대전, 서울

서울미술관, 서울

1981 서울미술관, 서울

미술회관, 서울

1978 그로리치화랑, 서울


주요단체전


2023 <들숨날숨>, 끼 화랑, 파주 

2023 <도시 현실 : urban reality>, 서울 시립, 서울 

2023 <오광인교 – 다섯 개의 빛> TTE art, 서울

2022-2023 <조르주 두오와 한국미술: 시선공명>, 전남도립미술관, 전남 

2022 <권순철 – 이강소 : 가슴이 두근두근>, 창성동 실험실, 서울

2021 <신자연주의 선언 28 주년>, ALLME Artspace, 서울

2019 PAF, 바스뛰유 디자인 센터, 파리

2019 ‘풍경, 얼굴’ 권순철, 서용선, 주태석, 와우 갤러리, 서울

2019 <양주팔괴>, 장욱진 미술관, 장흥

2018 TEFAF, The European Fine Art Fair, 마아스트리츠, 네드렌드 

2018  세계 한민족 미술대축제-우리집은 어디인가?, 예술의 전당 한가람 디자인 미술관, 서울

PAF 2018 in Paris-대륙의 얼굴들, 파리

간 間 소나무 작가 협회, 파리

2017Visages Pluriels-권순철, 알랭 소레이(Alain Soreil) 2인전프랑스 한국문화원, 파리

동행 同行 : 가나아트와 함께 한 30년, 가나아트센터, 서울

2016 한국 현대미술의 눈과 정신 2-리얼리즘의 복권, 가나인사아트센터, 서울

한불수교 130주년 기념전, 루앙, 프랑스

2015 파리 CBMC 개관 특별전, 퐁 데자르, 서울

대구아트페어, 엑스코, 대구

광복 70주년 기념 특별전-기억의 초상, 경남도립미술관, 창원

2014 사유로서의 형식: 드로잉의 재발견, 뮤지엄 산, 원주

소나무, 그의 영혼은 어디에, 예술공동체 갤러리, 파리

Moment, 갤러리 스페이스 움, 뉴욕

KOREA KOREA, 갤러리 손, 베를린

소나무 작가전, 로스앤젤레스 한국문화원, 로스앤젤레스 

2013 정전 60주년 기념 특별전, OCI미술관, 서울

가나아트 개관 30주년 기념전, 가나아트센터, 서울

소나무 작가전, 워싱턴 한국문화원, 워싱턴 D.C.

공간 이전 기념전, 갤러리 스페이스 움, 뉴욕

2012 소나무 작가전, 뉴욕 한국문화원, 뉴욕

여기 사람이 있다,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한국현대미술-거대서사,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70-80년대 한국미술,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1980년대 인간전 그 이후 오늘의 동향, 정문규미술관, 안산

2011 개관 특별전-삶과 풍토, 대구미술관, 대구 

Humanity, 갤러리 스페이스 움, 뉴욕 

2010 황색선을 넘어, 경향 갤러리, 서울

Polyptyque, 카드놀이박물관, 이시 레 물리노, 프랑스 

소나무 작가전, 한국문화원, 바르샤바, 폴란드

가나아틀리에 입주작가보고전-My Room My Atelier, 가나아트센터, 서울

2009      성령의 불꽃전, 루멘갤러리, 파리

노스탤지어, 리오랜초 컨퍼런스센터, 리오랜초, 미국

Paris-LA-NY, 한국문화원, 로스앤젤레스

아트 파리, 그랑 팔레, 파리

이중섭 미술상 수상 작가전, 조선일보미술관, 서울

형성회전, 서울

2008 가나아트 개관 25주년 기념전-The Bridge, 가나아트센터, 서울

아시안 아트페어, 뉴욕

2007 Les Passages NY, 허친스갤러리, 뉴욕

권순철, 배병우 2인전, 갤러리 가나보부르, 파리

2006 권순철, 곽수영 2인전, 2X13갤러리, 뉴욕

소나무협회전-경계선, 몽파르나스미술관, 파리

2004 평화선언 세계 100인 미술가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개관 초대전, 경남도립미술관, 창원

현대미술의 시선, 세종문화회관, 서울

2003 얼굴표현,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아트 파리, 그랑 팔레, 파리

베이징 비엔날레, 베이징

2002 한중작가 30인전, 예술의 전당, 서울

2001 오디세이, 한국문화원, 워싱턴 D.C.

2000 우리들의 상, 세종문화회관, 서울

1999 JAALA,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의 인물전, 호암미술관, 서울

이중섭 미술상 수상 작가전, 조선일보 미술관, 서울

1998 회화 속의 봄, 한림미술관, 서울

개관 기념전, 가나아트센터, 서울

1997 '97 한국미술,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996 크리스틴 티시에, 권순철 2인전, 주불 한국문화원, 파리

1995 권순철, 김순남 2인전, 아르스날 화랑, 파리

1994 대구 워크샵, 시공화랑, 대구

1993 소나무회전, 주불 한국문화원, 파리

한불전, 주불 한국문화원, 파리

한국화가 3인전, 벨프르와 화랑, 파리

1992 아트 프랑크푸르트, 프랑크푸르트, 독일

예술가의 초상, 아르스날 화랑, 파리

1991 프랑크 하넬 화랑, 프랑크푸르트

FIAC, 그랑 팔레, 파리

1988-91 <그리고 그리나니> 회원전

1986 비평 구상전, 그랑 팔레, 파리

한국 현대 파스텔화전, 주불 한국문화원, 파리

화랑미술제, 서울

1983-89 <인간> 정기전

1981-87 현대미술 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979-88 한국미술협회 정기전

1972-현재 <형성회> 정기전

1972-77   <신체제> 정기전


수상

제4회 이중섭미술상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대구미술관

대전시립미술관

부산시립미술관

경남도립미술관

호암미술관

가나문화재단

주 프랑스 대한민국 대사관

주 벨기에 유럽연합 대한민국 대사관


MFA in Paint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BFA in Paint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Selected Solo Exhibitions

2016-2017 Light of The Spirit – Jesus, Gana Art Center, Seoul

2016 Kwun Sun-Cheol : the Gaze, Daegu Art Museum, Daegu, Korea

2015 Bongsan Cultural Center, Daegu, Korea

2012 Ara Art Center, Seoul

           Gana Art Center, Seoul

           Gallery Son, Berlin

2010 Gana Art New York, New York

2007 Gana Art Busan, Busan

2004 Gana Art Center, Seoul

2003 Doosan Gallery, Daegu, korea

           Musee d’art Modern de Troyes, Troyes, France

2001 Galerie Gana Beaubourg, Paris

           Gallery Hongik, New York

2000 Galerie Gana Beaubourg, Paris

           Insa Art Center, Seoul

1998 Gana Art Gallery, Seoul

1997 Galerie Gana Beaubourg, Paris

1996 Gana Art Gallery, Seoul

1993 The 4th Lee Jung Seop Art Prize Winner Exhibition, Chosun Ilbo Art Museum, Seoul

1992 Galerie Frank Hänel, Frankfurt

1991 Gana Art Gallery, Seoul

           Galerie Bateau-Lavoir, Paris

1990 Forum, Dusseldorf, Germany

1988 Stockholm Art Exhibition, Stockholm, Sweden

Gana Art Gallery, Seoul

1986 Seoul Art Museum, Seoul

1981 Seoul Art Museum, Seoul

           Fine Arts Center, Seoul

1978 Grorich Gallery, Seoul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18

World Korean Grand Art Festival-Where is our home?, Seoul Arts Center, Seoul

             PAF 2018 in Paris-Exposition des visages des 5 continents, Paris

             Gan 間 Association des artistes sonamou, Paris

2017

 Visages Pluriels - Kwun Sun-Cheol et Alain Soreil, Centre Culturel Coréen, Paris

         Accompany : 30 Years with Gana Art, Gana Art Center, Seoul

2016

Reinstatement of Realism - Eye and Mind of Korean Contemporary Art II, Ganainsa Art Center, Seoul

            130th Anniversary exhibition of diplomatic ties between Korea&France, Rouen, France

2015

CBMC Inaugural Special Exhibition, Gallery Pont des Arts, Seoul

           Daegu Art Fair, Exco, Daegu

           Portrait of Memory-Korea’s 70th Anniversary of Liberation Special Exhibition, Gyeongnam Art Museum, Changwon, Korea

2014

Form as Thinking: Rediscovery of Drawing, Museum SAN, Wonju, Korea

           Sonamou, Where Is Its Soul, Galerie Cite Internationale des Arts, Paris

           Moments, Space Womb Contemporary Art Gallery , New York

           Korea, Korea, Gallery Son, Berlin

           Association des Artistes Sonamou Exhibition, Korean Cultural Center, Los Angeles

2013

The 60th Anniversary of Ceasefire Special Exhibition, OCI Museum of Art, Seoul

           Gana Art 30th Anniversary Celebration Exhibition, Gana Art Center, Seoul

Association des Artistes Sonamou Exhibition-Odyssey II, Korean Cultural Center, Washington D.C.

           Space Moving Celebratory Exhibition, Space Womb Contemporary Art Gallery, New York

2012

Association des Artistes Sonamou Exhibition, Korean Cultural Center, New York

           Here Are People, Daejeon Museum of Art, Daejeon, Korea

           Contemporary Korean Art : Grand Narrativ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Korea

Korean  Art of the 1970s and 1980s, Seoul Museum of Art, Seoul

           Trends today after Humanity Exhibition of the 1980s, Chungmunkyu Museum, Ansan, Korea

2011

Daegu Art Museum Inaugural Special Exhibition : Nature, Life, Human, Daegu Art Museum, Daegu, Korea

Humanity, Space Womb Contemporary Art Gallery, New York

2010

Crossing the Yellow Line, Kyunghyang Gallery, Seoul

Polyptyque, Musée Français de la Carte à Jouer, Issy les Moulineaux, France

Association des Artistes Sonamou Exhibition, Korean Cultural Center, Warsaw, Poland

Gana Atelier Resident Artist Report Exhibition : My Room, My Atelier, Gana Art Center, Seoul

2009      A Flame of the Holy Spirit, Galerie Lumen, Paris

           Nostalgia, Rio Rancho Conference Center, Rio Rancho, USA

           Paris-LA-NY, Korean Cultural Center, Los Angeles

           Art Paris, Grand Palais, Paris

           Lee Jung Seop Art Prize Winner Exhibition, Chosun Ilbo Art Museum, Seoul

           Hyungsunghoe Artist Group Exhibition, Seoul

2008

Gana Art 25th Anniversary Exhibition : the Bridge, Gana Art Center, Seoul

           Asian Art Fair, New York

2007

Les Passages NY, Hutchins Gallery, New York

           Kwun Sun-Cheol & Bae Bein-U Two-man Exhibition, Galerie Gana Beaubourg, Paris

2006

Kwun Sun-Cheol & Gwak Soo-Young Two-man Exhibition, 2x13 Gallery, New York

Association des Artistes Sonamou Exhibition : the Border Line, Musée du Montparnasse, Paris

2004

Declaration for Peace 100 Artists Exhibition,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Korea

Gyeongnam Art Museum Inaugural Exhibition, Gyoengnam Art Museum, Changwon, Korea

           The Gaze of Contemporary Art, Sejong Arts Center, Seoul

2003

Expression of the Faces, Daejeon Museum of Art, Daejeon, Korea

           Art Paris, Grand Palais, Paris

           Beijing Biennale, Beijing

2002

30 Korean and Chinese Artists Exhibition, Seoul Arts Center, Seoul

2001

Odyssey, Korean Cultural Center, Washington D.C.

2000

Our Images, Sejong Arts Center, Seoul

1999

Jaala, Seoul Museum of Art, Seoul

           Korean Figures, Ho-Am Art Museum, Seoul

Lee Jung Seop Art Prize Winner Exhibition, Chosun Ilbo Art Museum, Seoul

1998

Spring in Painting, Hanlim Art Museum, Seoul

           Gana Art Center Inaugural Exhibition, Gana Art Center, Seoul

1997

’97 Korean Art,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Korea

1996

Kristine Tissier & Kwun Sun-Cheol Two-man Exhibition, Korean Cultural Center in France, Paris

1995

Kwun Sun-Cheol & Kim Sun-Nam Two-man Exhibition, Galerie Arsenal, Paris

1994

Daegu Workshop, Sigong Gallery, Daegu, Korea

1993

Association des Artistes Sonamou Exhibition, Korean Cultural Center in France, Paris

           Korean and French Art Exhibition, Korean Cultural Center in France, Paris

           Three Korean Artists Exhibition, Galerie Belle Froide, Paris

1992

Art Frankfurt, Frankfurt

           Portrait of the Artist, Galerie Arsenal, Paris

1991

Galerie Frank Hänel, Frankfurt

           FIAC, Grand Palais, Paris

1988-91

<Grigo Grinani> Artist Group Exhibitions

1986

Criticism, Conception, Grand Palais, Paris

           Korean Contemporary Pastels, Korean Cultural Center in France, Paris

           Korea Galleries Art Fair, Seoul

1983-89

<Humanity> Regular Exhibitions

1981-87

Contemporary Art Invitational Exhibitions,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Korea

1979-88

<Korean Fine Arts Association> Regular Exhibitions

1972-present

 <Hyungsunghoe> Regular Exhibitions

1972-77

 <New System> Regular Exhibitions


Award

1992 The 4th Lee Jung Seop Art Prize


Affiliations

Korean Fine Arts Association

Seoul Fine Arts Association

French Fine Arts Association

Seoul Hyungsunghoe

Association des Artistes Sonamou


Public Collections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Seoul Museum of Art

Daegu Art Museum

Daejeon Museum of Art

Busan Museum of Art

Gyeongnam Art Museum

Ho-Am Art Museum

Gana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France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to the Kingdom of Belgium and the European Union

Artist Statement

오늘의 작가라면 과거나 현재도 깊이 생각해야 하나 또한 미래의 인류생활이나 문화의 향방에 대해 이렇게 될 것이라든가, 이렇게 되어야 한다는 가정 아래, 다가오는 미래에 대한 예술 정신을 통한 준비가 있어야 할 것이며, 또한 피 흘리는 한국의 현실에 대한 깊은 통찰 아래 인류의 고통을 형상화해야할 것이다. 작가들이나 평론가들, 대중들이 치열하면서도 부드러워야 되지 않을까 싶다.(1982. 11, 『공간』) ● 한국에서는 시골에 있는 사람들의 얼굴이 그들의 정체성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들의 혼을 전하지요. 노동과 고통, 시간은 영혼의 아름다움이 드러나는 것을 막을 수 없습니다. 그것이 바로 제가 찾는 것입니다. 역사의 아픔보다 더욱 강한 그 무엇입니다. 한국에서는, 프랑스에서나 또는 다른 어느 곳에서나 마찬가지겠지만, 농민들이 바로 이 아름다움의 수호자들입니다. 영혼이 맑은, 힘들게 일하는 사람들이지요. 도시에선 미국식으로 지구촌화가 진행되고 있는데 저는 그것이 좋은 것이라 여기지 않습니다. 작가들에게 절대적인 진리란 존재하지 않지요.(2004. 9, 파리, 프랑소와즈 모냉과 대담 중에서) ■ 권순철

 

『기억 공작소(記憶工作所, A spot of recollections)』는 예술을 통하여 무수한 '생'의 사건이 축적된 현재, 이곳의 가치를 기억하고 공작하려는 실천의 자리이며, 상상과 그 재생을 통하여 예술의 미래 정서를 주목하려는 미술가의 시도이다. 예술이 한 인간의 삶과 동화되어 생명의 생생한 가치를 노래하는 것이라면, 예술은 또한 그 기억의 보고(寶庫)이며 지속적으로 그 기억을 새롭게 공작하는 실천이기도하다. 그런 이유들로 인하여 예술은 자신이 탄생한 환경의 오래된 가치를 근원적으로 기억하게 되고 그 재생과 공작의 실천을 통하여 환경으로서 다시 기억하게 한다. 예술은 생의 사건을 가치 있게 살려내려는 기억공작소이다. ● 그러니 멈추어 돌이켜보고 기억하라! 둘러앉아 함께 생각을 모아라. 우리가 인간으로서 지금껏 우리 자신들에 대해 가졌던 전망 중에서 가장 거창한 전망의 가장 독특한 해석과 그들의 다른 기억을 공작하라! 또 다른 기억, 낯선 풍경을…. ● 그러고 나서 그런 전망을 단단하게 붙잡아 줄 가치와 개념들을 잡아서 그것들을 미래의 기억을 위해 제시할 것이다. 기억공작소는 창조와 환경적 특수성의 발견, 그리고 그것의 소통, 미래가 곧 현재로 바뀌고 다시 기억으로 남을 다른 역사를 공작한다. ■


“저는 에곤 실레나 프랜시스 베이컨과 같은 표현주의자가 아닙니다. 제가 찾는 것은 영혼적인 것이죠. ‘형태를 통해 정신을 구현한다’고 말한 중국 동진시대 화가 고개지의 인물 미학론에 마음이 더 끌려요.”

Review

시대의 얼굴들


다프네 낭 르 세르정 Daphne Nan Le Segent

파리 8대학 부교수(현대 미술 및 사진 이론과 실제)

미학 박사, 예술과학 및 기술, 플라스틱 미술 및 사진 전공

미술 비평가(AICA)


오늘날 현대 미술의 세계화가 복합적인 기법과 스타일을 만들어 내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미술을 바라보는 시선을 진화시키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우리는 더 이상 미술가 자신들에 의해서 지속적인 도용, 분파, 비판 등의 방법으로 재가동되는 서양 미술의 역사를 탐구하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에 집착하지 말고, 다양한 형태의 문화적 구상들을 연결하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권순철은 1944년 한국에서 태어나 1989년부터 프랑스에서 활동하는 화가이다. 그의 작품들은 우리로 하여금 그의 커다란 캔버스를 전통적인 동양의 회화와 유럽과 미국의 아방가르드 미술의 만남이란 맥락에서 보게 한다. 내부의 힘을 포착하고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탐구하기 위하여 권순철은 구상과 추상의 경계선에 있는 마띠에르를 사용했다. 어떤 이는 그의 작품에서 기(氣)와 협력하여 작용하는 동양의 회화적 제스처의 계율과 현대 화가들의 형식주의 요구간의 양극화된 긴장을 발견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만남이 이루어진 회화의 영역을 간과하는 것이다.

 권순철의 작품은 색상의 촉감에 있어 가시적이고 폭발적인 효과를 낳는다. 행동을 취함과 사물을 보는데 있어 동양과 서양의 두 가지 양식이 융합하는 이러한 폭발력은 화가가 자신의 작품과 마주하는 특별한 경험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습득한 기법들이 활용되고 공통의 기억에 의해 파여진 골과 흡사하게 기억의 흔적들이 솟아난다.

 권순철이 그린 얼굴, 인재 및 풍경은 한국 및 한반도의 분단을 결정적으로 확정한 한국전쟁(1950-53)의 기억에 대한 영사면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미지는 미해결의 고통을 표현하는 독특한 한국의 비애인 한(恨)에 의해 빚어진다. 예를 들어 한(恨)은 전쟁 중 바닷가에서 자식이 미군 함선에 몸을 싣고 북한의 해안을 떠나는 모습을 지켜보는 부모의 심정이다. 지난 100년 동안 일제 강점기(1910-45), 한국전쟁 및 국가 분단을 거치며 한(恨)은 어느 때 보다 깊이 전국민의 정서에 파고 들었다.

 그렇기 때문에 권순철에 의해 그려진 각각의 얼굴은 움직임, 수축 또는 우아함의 초고가 될지언정 표현의 단계에는 절대 다다르지 않는다. 형상에서 형태를 유지하는 외곽선은 지속적으로 중단되고, 다른 징후들에게 방해를 받으며 배경 속으로 사라지거나 얼굴 안에 있는 다른 선들과 함께 공감대를 형성한다. 육체는 존재와 덧없음의 경계선에 있는 것 같다. 이 얼굴들은 개인의 정체에서 기인한다기 보다는 여정과 시선의 얼굴들이다. 얼굴들은 지형이 되어간다. 색상의 감촉은 누적되고 융합되며 응고하여 세상의 반대편을 찾는 길을 나타내는 지도를 형성한다. 얼굴의 특징들은 마치 토리노의 수의(壽衣)와 같이 캔버스에 각인된, 형용할 수 없고 이제는 감추어진 차원으로 창조된 것 같다. 이곳은 공(共)과 사(私)가 융합하는 곳이다. 다비드 르 브르통은 “하나의 감정 표현이란 존재하지 않고 주어진 상황에서 사회적 행위자의 혼합감정을 나타내는 얼굴과 몸의 수많은 뉘앙스가 있을 뿐이다”라고 했다.

 한국의 시장, 거리, 주민, 군중들의 얼굴은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몇몇은 젊고 윤기가 나며 매우 서양화된 모습을 하고 있다. 다른 얼굴들은 평생 노동의 시련이 뚜렷하게 드러난다. 화가는 시간, 노력 및 슬픔이 역력한 바로 이런 얼굴들에서 조국의 목소리를 찾는다. 하지만 이는 다윈이 상상하던 인성학(人性學) 모델이 아니라 얼굴 형태에 나타난 강도를 완전하게 장악하는 것이다. 아비 바르부르크는 이를 격정양식(激情樣式,pathosformel)이라 표현한다. 그에게 생존은 한편으로는 문화적 상징과 연관되어 있지만 특히 다른 한편으로는 현실에 직면한 육체의 반응과 관련이 있다. 그에 의하면 생명체는 어떤 강렬한 혼합감정도 기억이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얼굴이란 무엇인가? 권순철 작품의 얼굴은 개성의 상징이 아니라 노력, 시간, 역사의 흔적을 새기기 위한 표면이다. 조르쥬 디디-위베르만의 표현을 빌리면 “시간의 신체적 형태”인 것이다. 얼굴은 구체적으로 한국적인 특성이 다시 탄생할 수 있는 배경이 된다. 촉감은 대안으로서 그리기의 광범위한 움직임을 가로막고 그리기의 구성요소로 작용하며 마치 동일한 숨결로 과거 및 미래 세대에게 열리는 육체가 된 것 같다.

 그렇기 때문에 액션페인팅(action painting)으로 대표되는 추상표현주의 전통은 단순한 스타일의 전용(轉用)보다는 시간이 형성되고 쓰여지는 건전한 제스처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 이상 미국의 예술가들과 같이 이미지와 대표성을 해체하는 과정의 문제가 아니라, 보는 방식(추상표현주의 학파)과 말하는 방식(한恨의 필요성)에 관한 문제이다. 이 두 개념이 용기(容器)와 내용물의 형태로 동행하지 않는다면 그러한 혼합은 화가의 작품 및 제스처의 심미적 개선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일어날 것 같다.

 어떠한 제스처를 찾고 있느냐가 문제인 듯 보인다. 권순철은 길거리에서, 예술 작품에서, 그리고 잡지에 실린 사진에서, 여기 저기 순간적으로 시선에 잡힌 얼굴들을 관찰하며 그린 스케치들을 축적했다. 하나의 얼굴을 찾기 위해서는 그러한 얼굴이 존재한다는 확신을 반영해야 한다. 하지만 이런 제스처가 타인과 자신 사이의 장막이 되는 제스처 자체의 포착으로서 주체의 객체를 향한 관성만은 아니다. 처음에는 찾기 위해서 세상을 떠돌 필요가 있는 것처럼 보이는 이 추구의 제스처는, 내면의 감정을 무한한 외부와 연결시키고 연관시킬 필요성이기도 하다. 여기서 추구의 제스처란 돌이킬 수 없는 해산의 자극처럼 보이고, 이는 한(恨)의 흐름 안에서 자신의 분산이며, 천 가지 얼굴 중 하나의 얼굴에 대한 기억의 분산이다.

 권순철의 그림에 나타나는 추구의 제스처는 어법이 화자와 상대의 지위에 의해 구성되고 조절되는 한국말의 제스처와 매우 닮은 것 같다. 이는 자신과 타인 사이의 경계에 존재한다. 유사한 맥락에서 “나”와 “우리” 사이의 경계선에 커다란 화폭이 형성되어 있고, 이는 반사적인 움직임 내에서 타인의 얼굴을 침입하는 것이다. 또한 미국의 추상 표현주의를 다시 한번 연상시키는 촉감은 더 이상 존 듀이가 찬양하는 개인 경험의 가치를 가지지 못하고, 같은 피부에서 느끼는 접촉의 흡기 (吸氣)와 호기 (呼氣)의 계속적이면서도 단속적인 리듬이 되어 간다. 보는 사람을 향해 방향을 잡고 모든 착시적인 깊이를 포기하며 역동적인 표면으로 이끄는 측면에서는 위장된 가치로 인하여 복귀한 감촉이다(클레멘트 그린버그). 하지만 미국이 군사, 경제 및 정치적으로 세계를 지배하는 이 시점에서, 같은 제스처의 효과는 추상 표현주의가 뚜렷한 개인주의만이 아니라, 로스코의 말을 빌리자면, “영원하고 비극적인” 보편적인 내용을 찾는 방법으로 초월을 추구하는 데 있는 듯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권순철의 작품에는 우리가 찾고 있는 얼굴이 있다. 이는 추구의 방법으로 태평양을 넘어 또 다른 무언가를 고민하게 만드는 위력을 가지고 있다.

33인의 얼굴 ● 권순철의 대표 작품에 대해 보통, 어두운 바탕에 다양한 색상의 물감이 두텁게 쌓여 만들어진 큰 얼굴을 마주할 것이라고 기대하겠지만, 이번에 전시되는 얼굴들은 조금 다른 면모의 공간적 긴장감과 다소 활달한 붓질의 생경한 두려움이 어려 있어 좀 더 넓은 작가의 스펙트럼을 알 수 있도록 해준다. 3개 벽면 가득히 채워진 한지 드로잉 속, 얼굴 이미지는 주인공 각자가 짊어져온 생존의 시간과 작가의 기억 성찰 이후의 윤리성, 또 초월적 숭고미로 인도될 수 있는 작가의 오래된 아이콘의 또 다른 버전이다. ● 지금까지 발표해온 권순철의 주요 작업 이미지 스틸을 보여주는 디지털 모니터를 지나서 마주하게 되는 130×162㎝ 크기의 두터운 한지 드로잉 33점은 높이 5m 흰색 전시 공간에 33인의 개별 얼굴들이 서로 의지하며 하나의 큰 바탕을 형성하는 강인하고 숭고한 에너지의 울림을 만들어낸다. 이 울림의 체험으로 열리는 새로운 장소는 작가의 '마음'과 신체 '행위'를 포함하여 서로 다른 시간 층위의 재질감들을 기록하고 지나온 기억의 구획들을 펼쳐냄으로써 화면의 바탕, 신체 행위, 작가의 숨결 등이 일체화된 몰입 환경으로 작용한다. 아마도 이 몰입 환경은 '한국성' 탐구에 관한 작가의 직관이 조형해내는 '얼굴'에 근거를 두고 있다. 미술평론가 김윤수는 권순철이 그려온 '얼굴'에 대하여 "온갖 풍상을 겪으며 살아온 한국의 노인네들 얼굴이고 그 표정이다. 늙고 주름진 얼굴, 순박한 혹은 근엄한 얼굴, 기나긴 인고의 노동이 새겨진 얼굴, 수심에 지친 표정 등, 우리들이 어릴 때부터 보아온 이 땅의 평범한 할아버지 할머니들의 삶의 진지함과 엄숙함이 있다."라고 했다. 그 얼굴들은 살아있는 약자로서 거친 세상을 힘겹게 생존하는 보통 인간의 존재감과 더불어 동의할 수 없는 뭔가에 저항하면서도 처연함을 엿보이는 인간 관계적 윤리성과 연결된다. 그리고 그것은 숭고미라는 초월적 차원으로 열려있기도 하다.

신체 행위, 1919로부터 ● 지난 수십 년간 끊임없이 서민의 얼굴을 스케치하고, 캔버스 바탕에 물감으로 두텁게 그리는 권순철의 지속적 행위에서 작가의 태도(態度, attitude)를 짐작할 수 있는데, 태도로서 이 신체 행위는 작가 내면과 외부 세계가 관계하는 소통의 매개이며 작가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요체(要諦)로서 주목된다. 즉, 권순철의 태도는 무엇을 그리는가보다 생존의 기록으로서 지속되는 신체 행위에 핵심이 있다. 그래서 그의 작업은 큰 변화 없이 일정한 결과 흔적을 남기게 되고, 심지어 그가 프랑스에서 활동하게 되는 1988년 이후에도 한국에서 그렸던 그림과 비슷한 한국인의 얼굴을 발표할 수 있었던 것이다. 한편,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1919년 3월1일 기미독립선언서를 낭독한 33인의 '생존' 울림을 마음에 두고, 그 바탕에 1970~80년대 작가가 거리와 시장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애잔하고 힘겨운 일상을 견뎌낸 서민들의 '생존' 울림으로 겹쳐 기록하는 자신의 신체 행위 흔적들을 선보인다. ● 그리고 이 드로잉 공간과 마주보는 벽면에는 검은색 바탕 위에 불편하게 무릎을 꿇은 채로 가슴을 위로 들어 올리며 허리를 세운 자세의 인체 그림을 소개한다. 하늘로 향한 영혼을 탐구하는 작가의 신체 행위를 기록한 것일까? 두텁게 바른 다양한 물감 색상과 재질감이 돋보이는 이 회화는 33점의 '얼굴'이 지닌 생경한 두려움에 대응하듯 평안하고 조용한 무게감을 만들며, '얼굴'이 곧 '영혼', '넋'일 수 있는 동일성을 암시한다. 짐작컨대 마주보는 이 두 작업의 관계는 우리 개인의 삶과 지난 역사, 동시대 시간성에 대한 질문의 기록과 축적 그리고 현실 존재의 인간과 영혼의 관계 기억에 대한 환기를 독려하는 것이다. 이제껏, 작가의 관심사가 발전시켜 온 '얼굴', '산', '넋' 작업들은 한국전쟁(1950-53)의 기억과 그 이전 일제 강점기(1910-45)의 기억을 통해 한국인의 정서에 깊이 파고든 비애의 한(恨)을 호출하는 신체 행위에 다름 아닐 것이다. ● '얼굴'과 '넋'은 작가의 다른 작업과 마찬가지로 본래의 '생존'을 기억하는 담담한 미술 '태도'이며, 너무나 익숙해진 관계에 대응하는 또 다른 '낯선 기억'으로서 우리의 태도를 환기시키고 있다.


정종구


승화


프랑수와즈 모냉 Francoise Monnin

 (미술사가, Artension 편집 주간)

2010년 9월, 파리

 

군자(君子)가 되기 위해 노력하면 악()이 설 자리가 없을 것이다.-공자


“며칠 후에 작업실로 오시면 안 되겠습니까?” 9월 초 어느 날 아침 권순철에게 전화가 왔다. 목소리는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차분했지만 뭔가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여름 내내 작업을 통해 지금 마무리를 하고 있는 그림들이 썩 마음에 들지 않는 것이다. 거장은 매일 아침 그의 작업실에서 전에 볼 수 없었던 거대한 형식과 마주한다. 40년의 경험도 그로 하여금 새로 탄생하는 작품들의 수준에 대한 의심을 품는 것을 막지는 못한다.


2주 후 다시 전화가 왔다. “괜찮으시다면 오늘 오후에 들르시죠.” 이번에는 준비가 된 느낌이다. 작업실에는 수 십 개의 캔버스가 마르기를 기다리고 있다. 거장의 작품을 보니 숨이 막힐 듯 하다. 화폭에 펼쳐진 권순철의 세계가 바로 시선을 사로 잡는다: 큰 얼굴, 거대한 몸통; 존재하는 모든 색상의 무수한 촉감들; 휘도는 광채와 대성당(大聖堂)의 유리장식; 격동하는 유령들에 의해 구멍이 난 태초(太初), 순교자들을 향한 경의의 표시. 일찍이 거장은 이런 형상들을 이렇게 웅대하게 묘사한 적이 없었다.


늘 그랬듯이, 묘사된 얼굴들은 심각하고 심오하며 화가 나 있고 현명하다. 늘 그랬듯이, 그들이 인내한 온갖 고통에도 불구하고 신체들은 저항적이고 탄탄하다. 괴로움은 얼굴과 신체를 파멸하기는커녕, 오히려 엄청난 매력을 선사한 것 같다: 고통이 한 겹씩 쌓이면서 끝에는 천하무적의 철갑과 같은 빛의 갑옷을 엮은 것처럼. 이제 권순철은 더 이상 순박함이 우매함에 의해 짓밟히는 모습을 그리지 않는다. 그는 순박함을 승화시켜 인류애가 야만에 승리함을 보여준다.


그는 “제 마음 속에는 많은 것들이 있는데 끄집어 낼 수가 없어요” 라고 했다. 하지만 나는 그의 겸손함에 동의할 수 없다. 그는 그가 열망하는 “인체구조의 횡단”에 대해 언급하곤 한다. 권순철은 인체구조를 충분히 횡단할 능력이 있는 화가다. 그의 초점은 인간의 표면이나 외모가 아니라 우리의 중심에 있는 마음이다. “저는 에곤 실레(Egon Schiele)나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과 같은 표현주의자가 아닙니다. 제가 찾는 것은 보다 영혼적인 것이죠.”


항상 자신을 겸손하게 낮추는 권순철은 30여년 전 프랑스에 정착한 이후 매주 파리 시에서 주최하는 스케치 수업에 참석해서 누드 모델들을 그리고 있다. 화가의 작업실에는 신체가 어떻게 서 있고 움직이며 숨을 쉬는지 좀 더 잘 이해하려고 그린 수천 장의 연습 스케치가 쌓여 있다. “제가 파리를 좋아하는 이유는 기꺼이 나체로 포즈를 취하는 누드모델을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나체를 그리는 것이 신체를 이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죠. 한국에는 그런 모델들이 매우 드물어요. 우린 아직 고상한 척 하는 사람들입니다.”


권순철은 추상의 유혹을 뿌리치는 것이 “아주 쉽다”고 한다. 그는 절대 인간에서 초점을 떼지 않는다. 자유와 위엄을 위해 완전히 헌신하기로 결심한 중세의 기사처럼, 거장은 고수의 칼잡이가 칼을 부리 듯 붓을 놀린다. 수 많은 낮과 밤을 인내하며 캔버스의 표면에 점묘법으로 그림을 그리면서 그는 “공허”와 대화를 나눈다. 그에 “존재”로 도전할 수 있을 때까지. 이러한 대화가 끝날 무렵에는 사용된 많은 색감들이 정교하게 혼합되어 있다. 화가는 “색상들의 휴지통”에 대해서 언급하는데, 이 안에는 강렬한 청(靑), 황(黃) 또는 적(赤)의 덩어리가 튀어 나온다—투쟁하는 동안 너무나 두텁고 활발해져 대지의 기운처럼 보이는 실체의 중심에 심어진 도전, 미소 내지는 약간의 청춘과 같은 모습으로. 연상되는 얼굴이나 몸통은 괴로워하는 풍경이며 형성되는 과정에 있는 행성들이다. 종말론적인 빅뱅(Big Bang)으로부터 드디어 존재가 드러나고 생명이 혼돈을 누르며 승리한다.


이러한 얼굴들의 무한한 위엄을 보며 깊은 생각에 잠기니 부처를 떠 올리지 않을 수 없다. 재앙 때문에 깨어난 유령들이 북한의 경계를 가로지르고 9.11의 먼지 속에서 나타난다.

군자(君子)가 되기 위해 노력하면 악()이 설 자리가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