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 Si yeon & Park Seo eun

김시연 & 박서은

김시연 작가


site http://siyeonkim.com/

instagram @s1ye0nkim

facebook @s1yeonkim

email syeonkim01@gmail.com


학력 Formation

· Post-diplome National School of Fine Arts, Paris, France

  프랑스 국립고등미술학교 포스트디플롬

· 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 la photographie d'Arles,

  France (National school of photography)

  프랑스 국립고등사진학교 졸업

· Paris-Sorbonne University (also known as Paris IV),

  Philosophy, Paris, France

  프랑스 파리 소르본 4대학 철학 전공

· KAFA, Korean Academy of Film Arts

  한국영화아카데미 (연출)


/

박서은 작가


instagram @e.in_unreal

facebook @idealpumpkin

email seoeunpark01@gmail.com


학력 Formation

· 폴세잔대학교(엑스_마르세이유 3대학) 박사과정 중

  Paul Cézanne University Aix-Marseille III

· 아비뇽 대학 국제경영학 석사

  University Avignon, (Master), Avignon, France, Majored in commerceinternational

  "Study in prospection in asia market for French wine”- in case [Maison Arnouxet Fils]”

  University(Paris 12), Val de Marne, France, Majored in Commerce international

· 프랑스 파리 12대학 국제경영학 석사

  University Avignon, (Master), Avignon, France, Majored in commerceinternational

·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 전공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Master) Majored in Newspaper Broadcasting




Awards / Nominations

· 제 16회 루이비통 세계 젊은 작가상 수상, 피카소 그림에 반대한다, 파리, 프랑스, 2009 | [트렘블먼트]

 (심사위원장 전 피카소 미술관장, 루이비통재단 큐레이터 안느 발드사리)

* 16th LVMH Young Artist Award, in honor of Picasso France, 2009
  [Tremblement], LVMH Grand Prix Young Talents 2009

   The jury for the 16th LVMH Young Artists’ Awards, headed by Anne Baldassari,
   Director and Curator of the Musée Picasso in Paris and Curator of the “Picasso and the Masters” 

   exhibition at the Galeries Nationales du Grand Palais
   Jurors Anne Baledssari (chief curator of the Picasso Museum,
   Henry Cousseau(director of national School of Fine Art),
   Jean Claverie(LVMH, advisor to the president), Yvon Lambert(gallerist)


· 제 40회 프리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영애상 수상, 린츠, 오스트리아 2019 | [도시리듬]

  The Winner of Prix Ars Electronica, Linz, Austria 2019
  [City Rhythm],the honorary mention at the 2019 Prix Ars Electronica

   The jury for the Prix Ars Electronica by Ina Conradi(US, Associate Professor at the Nanyang
   Thechnological University Singapore), Alex Verhaest(BE, Artist), Ferdi Alici(TR, Founder and
   Director of OUCHHH), Birgitta Hosea(SW/UK, Artist), Nobuaki Doi(JP, Director for NCAIAF)


· 제 1회 중앙미디어아트 최우수 작품상 수상, 서울, 한국, 2021 | [산책]

   [Promenade], 1st JoongAng Media Art Contest Winner,  the Best Work Award, Seoul, Korea, 2021


· 제 24회 부산국제영화제 올해의 VR 영화상 수상, 부산, 한국, 2019 | [데칼코마니]

   24th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Busan, Korea 2019
  [Décalcomanie], Grand-Prize winner VR Cinema in BIFF of the best works of the year


· 제 4회 사티스 360 필름페스티발, 심사위원상 수상, 파리, 프랑스, 2019 | [데칼코마니]

   4th SATIS Screen4All 360 Film Festival, Paris, France, 2019
  [Décalcomanie], Mention spécial du jury

   The jury for SATIS Screen4All Film Festival headed by Gérard Krawczyk(director of French cinema)
   Urszula GLEISNER(Technicolor, UNESCO, Europe Créative, Hewlett-Packard, Vision Factory, Gleisner Consulting)
   Lidwine HO(a fiction and documentary sound editor), Oriane HURARD(producer), Stéphane  JUFFÉ(creative director)
   Mathieu MULLERMassimiliano MINISSALE, Yves NOUGARÈDE, Alexandre REGEFFE, Mauna   

   TRAIKIA, Bertrand WOLFF


· 몬트리올 국제 애니메이션 필름페스티벌, 심사위원상 수상, 몬트리올, 캐나다 | [로스트]

  [Lost], Montreal International Animation Film Festival, Special Mention, Montral , Canada, 2020

 

· 넥슨컴퓨터 박물관 V Reality Opencall 수상, 제주, 한국, 2020 | [언노운 월드]

  [Unknown World], VR 6Dof,  winner Nexon Computer Museum OPEN CALL V Reality, 2020


· 캐나다 국제단편영화제, 캐나다, 2019 | [얼론]

  Canadian & International Short Film Fest, Canada, 2019
 [Alone], Award winner of Canada Shorts, Mary Oland Theatre of the New Brunswick Museum, Canada, 2019


· 로스앤젤레스 시네마토그라피 어워드, 최우수 작품상 수상, 로스앤젤레스, 미국, 2020 | [데칼코마니]

  [Décalcomanie], The Best Picture of Los Angeles Cinematography AWARDS, 2020

 

· 런던 인터내셔널 크리에이티브 경쟁 부분 수상. 런던. 2018 | [시티 리듬] 

  [City Rhythm], The Winner of London International Creative Competition 2018

 

·대한항공 사진대상, 서울, 한국, 2000 

  Grand Prize winnner of Korean Air photo Awards 2000





Solo Exhibitions


2021   [공(空)의 매혹 : 고독과 고립의 연대] 展, 제주현대미술관, 한국

           [Fascination of emptiness : Correlationship between isolation and solitude], Jeju Museum of

           Contemporary Art, Jejudo, Korea (March 23th. 2021 - June 27th. 2021)


2021  [산책], 미디어파사드, 코엑스미디어타워, 파르나스미디어타워, WTC 월드트레이드타워 서울, 한국

          [Promenade], - 1st JoongAng Media Art Contest Winner, Seoul, Korea

       Parnas Media Tower, COEX Media Tower, WTC Seoul Trade Tower Media Board, Incheon

          Airport Amazing Square, Signature Dosan, Signature Seongsu (November 1st -November 7th 2020)


2021  [숲이라는 이름에 묻힌 나무], 실감형 미디어전시, 문화예술공공수장고, 제주현대미술관 한국

       [Tree Buried in the Name of Forest], Immersive Media Art Exhibition, Public Storage for Artworks, Jejudo, Korea (June 29th 2021 - September 26th 2021)


2020   [롤러컨베이어], 도시 프로젝트, 비디오, 인터렉티브 사운드 설치, Ai 데이터 마이닝, 소리갤러리,

          서울문화재단 지원작품, 서울, 한국

          [Roller Conveyer], SORI Gallery,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utre, Seoul, Korea ( October.5th. 2020-December 5th 2021)


2020   [언노운 월드], VR 6Dof, 24채널 사운드 인스톨레이션, 온한류프로젝트-코리아임팩트,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인사아트갤러리, 서울, 한국

           [Unknown World] , VR 6Dof, 24ch Sound Installation, ON:Hallyu Festival, Corea Impact, K’occa, Insaart gallery, Seoul. (November 16th -November .23rd 2020)


2020   [언어의 생산, 사건이 되다]. 실시간 AI 데이터 텍스트마이닝, 미디어 전시, 인사아트갤러리, 서울, 한국

           [Production of language: Events Creation], AI Data Text Mining, Interactive sound installation, Insaart gallery, Seoul, Korea (December 30th 2020 - January 4rd 2021)


2019   [무경계 : 여기 그리고 어디라도], 융복합 공연, 국립국악원 우면당, 서울, 한국

        [No Boundary : Here and anywhere], Performance, National Gugak Center, Umyeon-dang, Seoul, Korea

      

2018   [색환각] 색에 반응하는 소리 소리로 읽는 색채 展, 자바스크립과 파이선을 이용한 코딩, 인터렉티브 사운드설치, 버츄얼라이브러리, 한국콘텐츠진흥원, 서울, 한국

           [The INVISIBLE : Chromesthesia], Media Art sound installation, Virtual Library,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Seoul, Korea (November 28th - 30th 2018)  

           [무경계 : 여기 그리고 어디라도], 융복합 퍼포먼스, 스테이지 66, 콘텐츠진흥원, 서울

           [No Boundary : Here and anywhere], Performance and Projection mapping, Multi TestBed, Stage66, Korea (December 12th - December 13th 2018)


2017    [현대인의 냉장고], 믹스미디어 아트, 콘텐츠문화광장, 멀티테스트베드, 서울, 한국

            [NEO Contemporary Refrigerator], Installation and Mixed media art, Multi TestBed, Korea (December 12th - December 13th 2018)


2011    [인형의 집으로 오세요], 비디오 설치, 발레이문화센터, 카스트리옹, 스페인

            [Welcome to the Doll House], Video Installation, Valey Art & Cultural Center, Castrillón, Spain (October 5th - October 28th 2011)


2011     [히말라야 바람을 닮다 바람을 담다] 展, 네모갤러리, 서울, 한국

             [Like the wind, Embraces the wind], Photography, Nemo gallery, Seoul, Korea (November 19th - December 2nd 2011)

           

2011   [히말라야 바람을 닮다, 바람을 담다], 레드카펫을 밟다 展, 소울아트스페이스, 부산, 한국

             [Like the wind, Embraces the wind], Photography, Soul Art Space, Pusan, Korea


2010     [히말라야, 바람이 머무는 곳] 展, 주한 프랑스문화원, 서울, 한국

             [Himalayas, where the wind stays], Photography, Centre Culturel Français, Seoul, Korea. (June 6th - June 30th 2010)


2009     [트렘블먼트],[존재, 여자라는], 사진+비디오 설치, 갤러리 퐁네프, 파리, 프랑스 

            [Trembelemnt] [Being Women], Photography and 3 channel video installation, Galerie Pont-Neuf, Paris, France


2009     [트렘블먼트],[존재, 여자라는], 사진+비디오 설치, 갤러리 아레나, 아흘, 프랑스 

            [Trembelemnt] [Being Women], Photography and 3 channel video installation, Galerie Arena, Arles, France

          




 

Group Exhibitions 


2022      [그리고 사라지듯이], 기꺼이 가까이 展, 비디오 사운드 설치, 제주현대미술관, 제주, 한국

              [Ascension], Closely Closely, Jeju Contemporary Art Museum (November 12th - February 20th 2022)


2021      [도시의 욕망 : 삶, 아파트-도시 사유를 위한 시각적 메타포], 뉴미디어 설치, 이미지의 문장들 展,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 제2전시관, 창원, 한국

              [Urban Desire: Life - the Visual Metaphor for Observing the City], Sentences of Images, ChangWon City Museum MoonShin Art Museum, Exhibition Hall 2,  ChangWon, Korea (October 19th - December 30th 2021)


2021    [그리고 사라지듯이], [말과 나무:흔들리는, 흔들리지 않는], 비디오 설치 + 사진, 제주도립미술관

              [Ascension], [Horse and Tree, Unswayed], Video Installation+Photography, Jeju Museum Of Art, Jejudo, Korea (October 12th, 2021 ~ October 31st, 2021)


2021    [그리고 사라지듯이], [사라진 시간], 비디오 설치 + 사진, 제주돌문화공원 오백장군 갤러

              [Ascension], [Lost], Video Installation, Photography, Jeju Stone Park, Jejudo, Korea (September 29th, 2021 - October 3rd 2021)


2021    [City Rhythm], 25th INDIEFORUM, Independent Film, Seoul, Korea
        Sun October 3, 2021, Megabox Sungsu (Pm 2h40), (Wed, September 29, 2021 ~ Sun October 3, 2021)


2021    [Their own ways, 각자의 방식], 21th Seoul International ALT Cinema & Media Festival, Seoul, Korea (Asia/New Cinema), (August 19th, 2021 -August 27th 2021 at Lotte Cinema(Hongdae)


2021    [Drive], 21th Seoul International ALT Cinema & Media Festival, Seoul, Korea, (August 19th 2021 - August 27 th 2021 at Lotte Cinema(Hongdae)

2021     [City Rhythm], Indie Forum, Megabox Seongsu, Seoul, Korea, (September 30th 2021-  Monday, October 3rd, 2021)    


2020    [무경계 : 여기 그리고 어디라도], 제 23회 트라베르스_범위밖, 프레임밖 누가 보는가? 국제전. 아바트와 미술관. 툴루즈, 프랑스

               [No Boundary],  The 23rd Rencontres Internationales Traverse, at the Abattoirs Museum - FRAC Occitannie, Toulouse, France ( March 15th, 2020)

               Hors champ, Hors Cadre qui regarde?_Out of scope, Out of frame who watches?

         

2020       [언노운 월드], VR 6Dof, 24채널 사운드 인스톨레이션, 온한류프로젝트-코리아임팩트, 한국콘텐츠진흥원, 버츄얼 라이브러리, 서울, 한국

               [Unknown World] , VR 6Dof, 24ch Sound Installation, Contents Impact X, K’occa, Virtual Library, Seoul,  Korea. (November 16th -November .23rd 2020)


2020    몬트리올 국제 애니메이션 필름페스티벌, 심사위원상 수상, 몬트리올, 캐나다 | [로스트]

              [Lost], Montreal International Animation Film Festival, Special Mention, Montral , Canada,


2020    [데칼코마니], VR 경쟁 선정작, 제 8회 커런트3D 이멀시브 축제, 앙굴렘, 프랑스 

               [Décalcomanie], Selection of the 8th edition of Courant3D/Immersity festival, Angoulême, France (September 29th - 3rd October 2020)


2020      [얼론] 키이프 국제 단편 영화제 선정작 ,키이프, 우크라이나

              [Alone],Selection of the 9th Kyiv International Short Film Festival, Kyiv, Ukraine, (August 5th-9th, 2020)


2020   [로스트] 제 20회 서울 국제 뉴미디어 축제 경쟁, 서울

     [Lost], Selection of the 20th Seoul International New Media Festival


2020      [시티리듬], 스크리닝, ABC 시네마. 툴루즈,  프랑스

              [City Rhythm], Screened at the ABC cinema, Toulouse, France (March.13th.2020)


2020      [데칼코마니] K-버츄얼 리얼리티 실감 상영작, 플로렌스, 이탈리아

              [Décalcomanie], K-Virtual Reality Experience, Florence in Tuscany Region, Italy


2020      [얼론], 캐나다 국제 단편 영화제, 경쟁작, 뉴브런즈윅뮤지엄. 캐나다

              [Alone], Selection of Canada Shorts - Canadian & International Short Film Fest, New Brunswick Museum, Canada


2020      [데칼코마니], 부산국제영화제 VR부문 경쟁작. 부산,

              [Décalcomanie], SATIS Screen4All 360 Film Festival, Paris, France, November 5th-6th , Paris, France


2020      [데칼코마니], 사티스 스크린4올 360 영화제 심사위원상 수상작, 파리, 프랑스

              [Décalcomanie], SATIS Screen4All 360 Film Festival, Paris, France (November 5th-6th 2020)


2020      [도시리듬], South by Southwest,한국관 소개 작품, 텍사스 오스틴, 미국

              [City Rhythm], SXSW(South by Southwest), Austin, Texas, United States (March 3rd - 5th 2020)


2020   [LOST], 18th Florence Korea Film Fest (FKFF 2020), the film “Flowerpot” to festival in Short Film Section, Florence in Tuscany Region, Firenze, Italy (September 23rd -September 30th 2020)


2019      [도시리듬], 전시, OÖ 컬처 카르티에, 린츠, 오스트리아

              [City Rhythm], OÖ Kulturquatier, Linz, Austria (September 5th - 9th 2019)


2019     [도시리듬], 특별상영, 소머키노, 린츠, 오스트리아

             [City Rhythm], Special screening, Sommerkino, Linz, Austria (September 5th - 9th 2019)


2019     [도시리듬], 특별상영, 무비멘토, 린츠, 오스트리아

             [City Rhythm], Special screening, Sommerkino, Linz, Austria (September 5th - 9th 2019)


2019      [얼론],  IA 경쟁작, 제7회 커런트 3D/이머시티 축제, 앙굴렘, 프랑스

              [Alone], Intelligence Artificielle Competition, The 7th edition of Courant3D/Immersity festival, Angoulême, France (October 8 - 12th 2019)


2019      [도시의 욕망, 삶: 아파트] 제 19회 서울 국제 미디어페스티벌 경쟁상영작

              [Urban Desire, a space of life Apartement – the Visual Meraphor for Observing the City] Selection of the 19th Seoul International New Media Festival 


2019      [로스트], 서울국제단편영화제 경쟁작 , 서울, 한국

              [Lost], Selection of SEOUL INTERNATIONALSHORT FILM FESTIVAL, Seoul, Korea


2014      [파장,진동], 르 드레싱/ 라뉘블랑쉬 초대전, 파리 프랑스

              [Tremblements], Free'P'Star/Le Dressing(la nuit Blanche), Paris (October 2014)


2012      [현대인의 냉장고], 비디오+사운드 설치, 트라베르스 비디오, 툴루즈, 프랑스 

              [Contemporary Refrigerator], Video, Sound Installation, Traverse Video, Toulouse, France


2012      [현대인의 냉장고], 비디오+사운드 설치, 페스티벌 레진아탕뒤 ‘예기치못한’ 축제, 리옹

              [Contemporary Refrigerator], Video, Sound Installation, Festival-Les inattendus, Lyon, France


2012      [현대인의 냉장고], 비디오+사운드 설치, 소시에테드 큐리오지테, 파리

              [Contemporary Refrigerator], Video and sound project, société de curisités , Paris, France


2011      [메멘토모리] 고잉언더그라운드 베를린 국제 단편영화제 선정, 베를린

              [Memento Mori], Selection of Going Underground – International Short Movie Festival in Berlin


2011      [타인의 고통] 서울실험영화 비디오페스티벌 선정, 서울

              [Pain of Others], Selection of EXiS, Experimental Film and Video Festival in Seoul, Korea


2011      [현대인의 냉장고], 비디오+사운드 설치,디지털아트 페스티벌, 소피아, 불가리아

              [Contemporary Refrigerator], DA FEST, Digital Art Festival, Sopia


2010      [Terra], International Art exhibition Nord Art, Geschäftsführer und Kurator der NordArt, Germany


2010   [Etre les femmes], Association Pont-Neuf, Paris, France


2010      [Terra], [Tremblemnt], Traverse Video, Toulouse, France


2009     [Tremblemnt], Musée Picasso in Paris and Curator of the “Picasso and the Masters”, exhibition at the Galeries Nationales du Grand Palais







출판 Publish a book


2021    [공의 매혹 : 고독과 고립의 연대], 제주현대미술관, 제주, 한국  

            Fascination of emptiness : Correlationship between isolation and solitude by Jeju Museum of Contemporary Art (ISBN 79-6500398-000110-01), Korea


2020    [롤러컨베이어], 서울문화재단, 서울, 한국

            Roller Conveyer by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ISBN 979-11-972103-0-3), Seoul, Korea


2011   [히말라야, 바람을 닮다 바람을 담다], 서해문집, 서울, 한국

           Like the wind, Embraces the wind by timestory group(ISBN 978-89-7483-454-8 03660), Seoul, Korea







소장품 Collections



· 제주현대미술관 소장, 제주, 한국, 2021 | [그리고 사라지듯이]

  Jeju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2021 | [Ascension]


·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센터 소장, 린츠, 오스트리아 | [도시리듬]

  Ars Electronica Center,Linz, Austria, 2019 | [City Rhythm]


·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미술은행) 2019 | [도시의 욕망, 아파트 - 도시 관찰의 시각적 은유]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rorea, 2019 | [Urban Desire: Life - the Visual Metaphor for Observing the City] 


·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미술은행) 2015 | [겨울]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2015 | [L’hiver]


· 아르코아트센터 소장, 미디어 아카이브, 서울, 한국, 2011 | [파장,진동]

  Arco Art Center, Media ARCHIVE, Korea, 2011 | [Tremblements]


· 발레이문화센터 소장, 카스트리옹, 스페인, 2010 | [인형의 집]

  Valey Cultural Center, Castrillón, Spain, 2010 | [Doll House]

 

· 루이비통 재단, 파리, 프랑스 2009 | [트렘블먼트]

  Fondation Louis Vuitton, Paris, France, 2009 | [Tremblements]

 


Review


김시연과 박서은은 믹스 미디어 아트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콘텐츠에 등장하는 특정의 주제는 비디오 인터렉티브 사운드 설치, 사진, 프로젝션 맵핑 VR, MR, AR 등의 방식으로 표현하는데, 이때 미디어와 사운드가 연결되어 [가상]의 공간을 새롭게 구성하는 작업을 흥미진진하게 진행하고 있다.


김시연은 프랑스 파리 4대학 에서 철학, 국립고등사진학교 ENSP(아를)에서 사진과 영상을 전공 프랑스 파리 국립고등학교에서 공부했다.

2009년 발표한 파장[Tremblements]로 제 16회 루이비통 세계 젊은 작가상을 수상했고(심사위원장 현 루이비통 미술관, 전 피카소 미술관장 안느 발드사리), [Tremblement]은 그랑 팔레에서 전시 되었으며 파리 퐁네프 갤러리에서 개인전을 열었다. 2019년 [도시리듬, City Rhythm]으로 제 40회 아르스 일렉트로니카에서 영애상을 받았으며 이 작품은 미국의 사우스 바이 사우스 웨스트 South by Soutwest Festival 한국관에서 소개되었다. 한국에서는 ARKO 미디어아트 아카이브 선정작으로 2011년에 전시했다. 2009년부터 미디어아트 작품을 꾸준히 발표해 프랑스, 독일, 스페인 등 유럽 미디어 페스티벌에 초대받아 단체전 및 개인전을 진행했다.

작품으로는 [숲이라는 이름에 묻힌 나무], [Promenade], [Aura Room], [피로, 마라73, 잃어버린 조각들], [Tremblements], [시티리듬], [로스트], [현대인의 냉장고], [무경계], [색환각], [Unknown World], [Movement] 등이 있다.


박서은은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신문방송을 전공했고 이후 프랑스 아비뇽 대학 국제경영 석사, 폴세잔대학교(엑스_마르세이유 3대학) 박사과정 중 휴학했다.

2009년부터 미디어아트와 필름의 영역에서 언어가 기능하는 부분에 관심을 가지고 작업을 시작했다.

글의 나열, 언어가 끼어드는 순간 생성되는 이미지 너머의 암시, 게임처럼 치고 빠지는 생각의 흐름을 담은 작품 [No Boundary:무경계_2020.04 트라베르스 비디오 전시, 툴루즈]과 같이, 언어로 형성되는 시각적 상상력, 전달하는 방법에  흥미를 가지고 미디어에 접근한다.

[시티리듬], [무경계], [로스트], [현대인의 냉장고], [Tremeblement], [색환각], [데칼코마니], [Unknown World], [Movement] 의 작업을 김시연과 함께 발표했다.


 [데칼코마니](제공 한국영화진흥위원회, 제작 한국영화아카데미, 배급 바른손) 한국영화진흥위원회 지원으로 제작한 VR 6Dof, 공간입체사운드 작품)은 부산영화제 VR 작품 최우수 작품상, 프랑스 스크린4all 필름 페스티벌에서 심사위원상을 수상. 미국 로스앤젤레스, 필름페스티벌, 독일 프랑크프르트(LICHTER Filmkultur), 이탈리아 피렌체 한국영화제 등에서 상영했다.

 

 2018년 서울시 인구 빅데이터(KT)를 이용하여 재해석한 [서울시티리듬] 프로젝트는, K‘OCCA 다빈치프로젝트 쇼케이스에서 최우수작으로 선정되어 전시하였다. 이 작품은 미국 텍사스, 2019 SXSW 에서도 소개했다. 도시의 이동이라는 개념에 소외된 개인의 일상을 병렬 확장시킨 시티리듬은 2019 프리 아르스 일렉트로니카에서 영예상을 수상, 도시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외로운 정서를 우아하고 서정적인 텍스트와 이미지로 아름답게 표현했다는 평을 받았다.


2020년 언노운월드는 넥센컴퓨터박물관  VReality opencall 작품으로 선정되었다.  





미술관 속 자연(생태)예술의 조건:

김시연, 박서은의 ‘방식’

 

고동연 (미술사)


현대미술에서 자연은 어떠한 방식으로 수렴되는가? 최근 포스트휴머니즘이나 트랜스휴머니즘 등의 개념은 고전적인 휴머니즘이 상정하는 자연에 대한 인간의 우월적인 관계를 적극적으로 비판하고 해체하여 왔다. 자연을 훼손시킨 인간의 자기반성이 고전적인 휴머니즘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약간 뜬금없는 질문을 던지고자 한다. 그런데도 인간이 얼마나 자연 앞에서 낮아질 수 있는가? 아니, 자연과의 관계에서 얼마나 인간 중심적인 태도를 버릴 수 있는가?

위의 질문을 제기하는 것은 단편 실험영화와 미디어아트, 사진의 영역을 넘나들면서 활동해온 2인 작가 공동체, 김시연과 박서은의 최근 미디어 설치 작업이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설정하는 방식 때문이다. <Rêve_숲이라는 이름에 묻힌 나무>(2021), 다큐멘터리 영상 <각자의 방식>(2021)을 비롯하여 제주도립미술관에서 선보이고 있는 설치와 사진 작업은 요새 흔히 말하는 생태예술 정도로 분류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전시는 오히려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하여 다시금 고민하게 만든다. 특히 가상현실에 익숙한 세대에게 자연이라는 것이 어떻게 굴절되어서 인식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번 전시는 지난 1년간 작가가 아티스트 레지던시에서 머무르면서 마라도와 제주도 근방을 사진과 영상으로 촬영해서 만들어낸 결과물이다. 특정한 장소에 머물면서 인간이 남기고 간 흔적을 긴 호흡으로 기록한 전작 <도시의 욕망 삶: 아파트>(2019)의 연장선상에서 자연 속에 아주 희미하게 남아 있는 인간의 잔재와 무엇보다도 자연을 바라보는 인간의 시선이 주된 내용을 이룬다.

김시연과 박서은의 <각자의 방식>은 미술관에 오브제로서 썩은 나무를 들여오고 전시하는 지난한 과정을 세밀하게 보여준다. 다큐멘터리는 마라도 마라리 73번지에 있는 게스트하우스 주인이 보존하고 있던 바닷가에 떠밀려온 썩은 나무 그루터기를 미술관에 들여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다룬다. 썩은 나무의 그루터기를 궂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마라도에서 제주도로 옮기기 위하여 배에 싣는 과정, 운송 트럭이 포물선을 그리면서 미술관 뒤쪽 입구에 서서히 도착하는 과정, 마침내 미술관에 도착한 그루터기를 소독하는 과정에 이르기까지 <각자의 방식>은 현대미술관에 오브제로서 자연의 한 단면인 썩은 나무가 들어오는 과정을 담담하게 기록한다. 그뿐만 아니라 썩은 나무를 미술관 외부에서 세심하게 소독해서 미술관에 들여오기 위하여 준비하는 과정도 보여준다. 불현듯 드는 생각은 만약 썩은 나무에서 벌레를 박멸해버리면 과연 썩은 나무의 생태학적인 변화는 사라지는 것인가?

김시연과 박서은에게 자연은 전시 제목인 ‘空의 매혹: 고독과 고립’이 연상시키는바 인간의 고립을 치유해주고 극복하게 도와줄 “기능적인” 자연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자연을 현 인류가 직면한 문제점을 해결해줄 대안 체제나 매개체로 제시하지도 않는다. 오히려 <각자의 방식>은 자연을 인간의 시각에서 유용하고 변형해온 관습을 그대로 따른다. 물론 그 이율배반적인 의미, 즉 자연을 보호하고 전시하기 위하여 자연을 해칠 수도 상황을 그대로 드러내면서 말이다. 게다가 각종 디지털 수법이 만들어낸 가상적인 자연풍경은 이제 더는 낯설게 보이지 않는다. 과연 현재 시각예술에서 자연, 인간, 현대미술은 어떠한 관계 속에 놓여 있는가? 그리고 현대미술관은 어떻게 자연을 들여오고 있는가? 


숲의 드론 시점: <Rêve_숲이라는 이름에 묻힌 나무>

김시연과 박서은은 국내에서 논픽션 다큐멘터리와 미디어아트, 영화와 미술의 경계선에서 작업하여 왔다. 이번 전시에서도 다큐멘터리 영화, 미디어 영상설치, 사진, 사진 설치의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전시장 1층에 놓인 <Rêve_숲이라는 이름에 묻힌 나무>(2021)는 작가가 자연으로부터 채집한 소리와 이미지를 컴퓨터 그래픽으로 재구성하고 맵핑해서 전 화면을 채운 작업이다. 점들로 이뤄진 무정형의 이미지가 파도와 같이 하단에서부터 올라오다가 점차로 숲을 이루어지고 다시금 파편화된다. 씨앗에서 나무가 자라고, 이윽고 화면 하단에서부터 자라난 나무들이 거대한 숲이 되어 전체 화면을 덮은 후에 다시 작은 점들로 부서져서 사라진다. 작은 점들이 모여 거대한 숲을 이루고 이내 다시 파편으로 환원되는 과정은 생태계의 순환을 암시한다.

<Rêve_숲이라는 이름에 묻힌 나무>에서 이미지와 소리는 서로를 보완해준다. 숲을 빼곡히 채운 나무들이 점차로 희미해지고 우주의 빅뱅과 같이 이미지들이 사라지게 되면 빈 화면을 소리가 그득 메운다. 이내 작은 점들이 나무로 성장하게 되고 전체를 채우면, 소리 대신 시각적인 정보가 관객을 압도하게 된다. 시각과 청각적 정보가 서로를 도우면서 균형을 맞추어 간다. 결과적으로 관객은 거대하고 역동적인 스펙터클을 목격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미디어아트와 생태예술의 소재를 결합한 예술은 자연의 형태를 재현하거나 생태계의 변화를 직접 관객이 체험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으로 미술에서 ‘자연’을 수용한다. 물론 그러한 과정에서 자연의 한 부분으로서 인간의 감각기관은 큰 역할을 한다. 자연으로 돌아가기를 희망했던 미국의 1960년대 히피(hippie)가 자신의 감각이 가장 자연적인 상태에 이르기를 원했던 것도 같은 맥락에서이다. 그런데 <Rêve_숲이라는 이름에 묻힌 나무>는 결과와 과정을 통하여 자연을 수용하는 현대미술의 방식을 모두 사용하고 있는 듯이 보인다. 자연의 형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만 전개 과정이나 관객의 감각을 십분 자연의 변화 속도에 맞추어 자극하고자 한다는 측면에서 말이다.

여기서 자연의 이미지는 파편화될지언정 끝내 자연을 바라보는 인간 주체의 시점은 사라지지 않는다. 최근 인문과학자들은 인간의 주체성이 긍정적인 의미에서 소멸되고 자연에 대하여 억압적이고 지배적인 관계를 갖지 않도록 제안해왔다. <Rêve>에서 주체가 자신을 잃어버린 상태가 바로 이에 해당할 것이다. 하지만 작가가 바라보는 카메라의 시점은 숲속 나무의 이미지들이 완벽하게 파편화되기 전 울창한 숲을 빠르게 벗어난다. 드론 카메라의 시점은 하늘 위로 오르게 되고 멀리서 숲과 나무를 내려다본다. 하늘 위에서 바라보는 시점은 전지전능한 초월적인 관찰자의 존재마저 연상시킨다.

결과적으로 김시연과 박서은의 <Rêve>는 자연을 소재로 간섭하고 탐구한 예이며, ‘꿈(Rêve)’이라는 프랑스어 제목에서처럼 주체의 정서적 상태나 시선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자연을 찍고 기록한 결과를 맵핑한 것이지만 그 자체로 새로운 우주를 탄생시켰다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해 보인다. 작가는 자신의 모든 감각을 자연에 순응하고 맡기기보다는 적극적으로 자신을 둘러싼 자연을 자신들의 예술적 의도에 따라서 심지어 허구적으로 재탄생시키고 있다. 생태미술, 혹은 생태미술교육의 선구적인 이론가이자 예술가인 메리 헬가 만테레(Meri-Helga Mantere)는 2004년 환경교육이나 생태교육에서 점차로 지식이나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이 아닌 감각적인 관찰과 소통을 중시하는 예술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i] 특히 생태예술과 디지털아트를 결합한 에코 디지털아트(eco-digit art), 혹은 디짓-에코 아트의 궁극적인 목적은 유기적인 생태계에 순응하듯이 인간들이 자신의 환경에 최대한 순응하는 상태에 이르도록 관객을 유도하는 것이다.

<Rêve>는 작가와 관객의 감각적인 체험을 확대시키고자 한다는 점에서 에코 디지털아트의 흐름을 따른다. 그러나 주체의 순응보다는 작가의 관점이 숲의 언저리에서 대상과 적당한 거리감을 유지하면서 형태를 변형시키고 이내 전지전능한 관찰자로서의 존재감을 뽐내게 된다. 작가는 자연으로부터 얻은 정보를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여 완벽하게 파괴하고, 또한 완벽하게 재구성한다. 자연 속에 파묻히는 대신 숲을 조망하는 전지전능한 예술가의 시점은 곧 관객의 시점이 된다.


미술관에 자연물은 어떻게 들어오는가?: ‘마라 73’

김시연과 박서은의 작업에서 자연은 단순히 치유를 위한 수단이라기보다는 대상에 가깝다. 창작자의 시선을 투영하는 대상 말이다. 자연 그 자체가 아닌 인간과 관계 맺기의 하는 한 방편으로 자연을 인식하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Rêve_숲이라는 이름에 묻힌 나무>는 인간의 꿈과 같은 무의식의 세계에서 재구성된 가상의 풍경이라고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본래의 질문으로 돌아가 보자. 자연은 어떻게 미술관으로 들어오게 되었는가? <각자의 방식>은 썩은 나무 그루터기를 미술관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기록한 36분짜리 담담한 미니 다큐멘터리이다. 그러나 매우 담담하게 기록된 <각자의 방식>이 제기하는 질문은 단순하지만은 않다. 미술관에 들어오는 자연은 어떤 상태이어야 하는지, 과연 미술관에 들여온 자연의 파편은 순수한 자연물이라고 할 수 있는지 등등 다양한 질문을 관객에게 던지기 때문이다.

첫 번째로 <각자의 방식>은 자연물 자체를 숭배적인 물건으로 다루는 것이 아니라면 오히려 미술관으로 들어와서 소중한 물건이 되는 과정 자체에 집중한다. 관찰자, 해설자로서의 작가뿐 아니라 조력자로서 전시를 꾸리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운송자, 미술관 직원들도 등장한다. 심지어 관장님도 애정이 어린 눈으로 운송차에서 그루터기가 내려지는 과정을 지켜본다. 작가의 존재감이 드러나지 않으면서 그야말로 미술관에 작업이 운송되는 체계와 상황을 친절하게 보여준다.

두 번째로 자연물이 미술관에 들여올 때 행정적으로 필요한 과정이 있다. 자연물을 자연의 ’순수성’을 담은 매개체로 전시하고 있기는 하지만 일단 미술관에 들어오기 위해서 자연물은 미술관이 정하는 물리적인 크기와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실제로 썩은 그루터기가 미술관에 도착한 후 마당에서 나무의 밑동을 잘라야만 하였다. 나무의 뿌리와 기둥이 붙은 상태로는 미술관 전시장에 들어갈 수가 없기에 내린 특단의 조치였다. 물론 썩은 그루터기 단면에 소독약도 쳐야했다. 여기서 소독약을 친다는 것은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소독약을 쳐서 깨끗해진 그루터기는 죽은 것인가, 산 것인가? 인위적인 상태인가, 자연적인 상태인가?

세 번째로 박서은 작가는 소독약을 뿌렸고 나무를 잘라냈지만, “단면을 보면 아직도 싱싱하게 살아 있는 것 같다고, 아니 살아 있다”라고 반복해서 주장한다. 그런데 어차피 미술관 내부로 자연물이 들어온 이후의 과정은 생명체에 제 2의 삶을 부여하는 과정과 유사하다. 미술관에서의 삶, 혹은 미술의 오브제로서의 새로운 삶을 위해서는 ‘심폐소생’의 과정이 필요하다. 배경으로 설치된 영상 <그리고 사라지듯이> 앞에 조각은 어두움 속에 놓여 있다. <피로: 마라 73, 잃어버린 조각들>을 제작하기 위하여 그루터기를 붉은빛이 쬐는 선반의 한가운데 위치시킨 장면은 생명을 회복하는 조치가 취해지는 수술실을 연상시킨다. 또한 <피로: 마라 73, 잃어버린 조각들>의 나무의 표면에 빛이 닿게 되면서 나무의 표면에서 빛이 서서히 꿈틀거리면서 환영이 만들어진다. 빛이 나무의 결과 만나면서 음영에 따라서 역동적인 효과가 만들어지는데 멀리서 보면 심지어 나무가 살아 있다는 일시적인 착각을 하기도 한다. 

물론 현대미술에서 자연의 잔재 그 자체를 뒤샹의 레디메이드처럼 미술관으로 들여오는 일은 오랜 역사를 지닌다. 그러나 잘 알려진 바와 같이 1960-70년대 대지예술의 선구자인 로버트 스미드슨(Robert Smithson)의 장소 특정적인 설치물은 자연환경에서 결국 없어졌거나 없어지는 과정에 있다. 미국 유타 솔트레이크 호수에 설치된 <나선형 방파제(Spiral Jetty)>의 경우 지난 50여 년간 밀물에 쓸려서 형체를 잃어가고 있으며, 2000년대 초부터 디아예술재단은 방파제가 그 과정을 기록하고 있다. 그보다 앞서 1970년 미국 켄트대학교의 교정에 스미드슨이 설치한 썩어가는 그루터기 〈부분적으로 묻힌 장작 헛간〉(1970)는 결국 극심한 냄새와 치안 상태가 문제가 되어 1975년 예술가의 재단과 대학 측의 합의 하에 영구적으로 철거되었다.[ii] 썩은 나무가 주위 이용자들의 반감을 샀기 때문이다. 애초에 자연 생태계의 물건을 그대로 미술품으로 수렴하려는 시도 자체가 지나치게 무모했다고 볼 수 있다. 현대미술은 그 무모함을 통하여 예술의 물질성, 예술작업의 영속성, 예술작품과 자연물의 경계를 문제시 해왔다.

마찬가지로 자연생태계의 흐름과 변화에 순응하려는 것이 생태예술의 중요한 목적이고 이를 통하여 미술의 존재 방식에 질문을 제기하고자 한다면, ‘마라 73’이 제기하는 질문에 답을 하기가 만만치 않다. <피로: 마라 73, 잃어버린 조각들>에서 이름이 붙여지고 보관되며 미술관으로까지 유입된 ‘썩은 그루터기’의 긴 여정을 보면서 관객은 현대미술이 제대로 자연과 만나기 위해서, 자연물이 미술관에 들여오기 위해서 어떤 과정과 딜레마에 봉착하게 되는지를 목격하게 된다. 따라서 <각자의 방식>은 자연을 인간의 방식으로, 즉 미술관의 체계에 따라 수렴할 수밖에 없는 생태예술의 현주소를 보여준다. 나아가서 자연물의 순수성이나 날 것의 여부보다 인간의 문화와 자연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성찰하게 해주기도 한다. 자연의 순수성을 누가, 어떻게 논할 것인가?


순수(?) 자연 : <집>과 <아우라룸>

김시연과 박서은의 ‘에코 디지털아트’는 자연을 활용하고 관찰하면서 인간 중심적인 사고를 근본적으로 부정하지는 않는다. 인간의 손과 관점이 배제된 ‘순수 자연’의 상태는 불가능한 것일는지도 모른다. 아니, 마라도 섬의 이곳저곳을 방황하듯이 기록하면서 관찰자의 정서적 상태를 독백으로 읊어낸 영상 <드라이브>(2021)의 마지막 장면에서처럼 ‘선’은 계속 파괴되기 위해서 존재한다. 관찰자와 타자, 인간과 자연의 두 영역은 구분되지만 동시에 ‘붙어 있으며’ 비탈길 ‘중앙선’을 달리는 자동차는 그 선을 계속 넘나들 수밖에 없다.

이번 전시에서 영상이나 설치와 함께 사진이 전시되었다. <Rêve>에서도 암시된 바 김시연과 박서은에게 자연은 인간의 의식이나 무의식에 따라 굴절될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여 있다. 따라서 얼핏 보기에 멋진 풍경 사진도 허구와 순수한 자연의 상태가 아닌 인간의 눈에 투영되고 인간의 욕망이 암시된 사실과 허구의 경계를 허문 결과물이다.

<집>과 <Alone>(2021)의 주요 배경인 마라도는 두 개의 전혀 다른 이중적인 이미지를 지니고 있다. 외지인들이 몰리는 시간대의 마라도는 여행객들로 북적인다. 그러나 외지인이 떠난 저녁 시간 마라도는 바닷물이 빠진 바닷가처럼 적막에 싸인다. 작가는 정자와 같이 관광객이 애용하는 시설물을 다룬다. 관음증 환자가 대상을 바라보듯이 멀리서 정자를 관찰한 모습이 어슴푸레한 배경에서 드러난다. 사진 화면의 가장자리에 있는 검은 외곽선은 카메라 렌즈를 들여다보이는 관찰자의 시점을 암시한다. 노출과 합성을 통해서 만들어낸 효과이다. “고립,” “적막감,” “외로움” 둥, 그야말로 전시 제목이 강조하는 멜랑콜리한 인상이 자연 풍경에 집결되어 있다. 반면에, 순수함, 날것, 사실이라는 다큐멘터리 사진의 본래의 정의는 사라진다.

<집>과 <Alone>의 어두운 배경과 극적인 조명은 관람자를 다른 시간대로의 여행에 초대한다. ‘밤’이라는 특정한 시간대 때문이기도 하거니와 적당한 거리감은 다가갈 수 없는 것을 흠모하는 병리적인(pathological) 상태로서의 노스탤지어를 유발한다. 게다가 과장된 조명은 어느 순간 어두움 이면에 새로운 빛이 나타날 것만 같은 착각마저 만들어낸다.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千と千尋の神隠し루ᄃᆞ)>에서처럼 ‘집’ 주위의 인위적인 불빛은 순수한 자연의 상징으로서 마라도를 기괴한 이미지로 만들어버린다. 고요하고 어두운 자연 속에서 정반대의 이미지를 상상하게 된다.

보는 이의 심상을 반영하기 위하여 자연 풍경을 사용하는 것은 미술에서 오랫동안 인간이 자연을 소비해온 방식이다. ‘자연을 보는 법’이 작가들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일 수 있다는 점을 확신시켜주는 대목이 또 하나 있다. 설치 작업 <아우라룸(Aura Room)>(2021)은 빛을 사용하고 있지만, 정확히 관객이 맨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빛의 움직임과 굴절은 작가가 만들어 놓은 장애물을 빼고 파악된 것에 불과하다. 작은 구멍을 통해서만 관찰되는 방안의 빛은 우리의 시각이 일정 부분 차단된 후에 남은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바라보는 자연이 전체 자연의 모습 중의 일부분이라면, 상징적인 의미에서 <아우라룸>은 우리가 자연을 보는 방법, 아니, 보도록 강요된 방법에 대해서도 고민하게 만든다. 우리가 보고 있는 자연은 신기루나 환영에 불과한 것은 아닌가? 우리가 자연을 느낀다는 것은 무엇인가?


디지털 시대의 자연: 우리시대 자연(생태) 미술의 조건

산업화 이후 인간과 자연의 관계는 역전의 역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제는 고전적인 휴머니즘이 집착해온 인간 중심적인 사고를 버리지 못하면 영원히 망가진 자연을 회복할 수 없다는 위기감이 팽배해 있다. 하지만 예술의 영역에서 자연은 상상력의 중요한 원천이자 애증의 존재이다. 사회운동으로서의 생태운동과는 별개로 예술에서 인간과 자연의 관계는 훨씬 복합적이다. 아니 복합적으로 상정하는 것이 결국 예술에 이로울 것이다. <아우라룸>에서 작은 구멍을 통하여 방안에 놓여 있는 빛의 움직임을 관찰하듯이 자연과 무관하게 인간의 행동이 자연을 미학적으로 규정하고 수렴하며 변형시켜 왔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현대미술가들은 다양한 미학적인 성취를 해왔다.

특히 각종 시각적 생산물의 변조도 한층 손쉽고 정교해진 시대, 인위적으로 빛의 흐름을 가리거나 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 시대, 다큐멘터리 사진과 예술사진의 경계가 모호해진 시대, 진짜와 가짜, 날것의 자연, 인간의 눈과 솜씨를 통하여 ‘순수’하거나 변조된 자연물 사이의 구분을 짓는 일이 어려워졌고 심지어 불필요해졌다고도 할 수 있다. 오히려 비(非)자연, 유사(類似)자연은 인간이 자연을 인식해온 방식이나 자연을 보는 법에 대하여 새롭게 깨닫게 해준다. <Rêve_숲이라는 이름에 묻힌 나무>의 전지전능한 시점이나 <아우라룸>의 바늘구멍은 결국 인간이 자연을 경험하는 방식과 결과는 인간 중심적일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을 상기시킨다. 물론 인간의 한계를 포함해서 말이다. 마찬가지로 인위적인 마라도의 자연풍경은 관광주의와 같이 우리의 욕망이 발현된 결과물이다. <집>의 아름다우면서도 기괴해보이는 풍경은 그 욕망의 언저리 너머에 존재하는 위험한 것들을 품은 채 어두움과 빛 사이에 존재한다.

따라서 현대미술에서 인간과 자연의 관계 설정이 다른 분야와 달라야 한다면, 그것은 우리가 인지하고 있는 자연이 결국 인간의 감각, 감정, 정서적 상태의 반영이라는 너무 오래된 사실을 재확인 시켜주는 것이다. 자연은 인간이 고치거나 회복할 수 있는 개체라기보다는 인간 인식의 조건과 한계를 드러내는 수단이라는 점을 김시연과 박서은은 다시금 일깨워준다. <드라이브>에서 선을 아슬아슬하게 넘으면서 달리는 자동차의 바퀴는 각각의 필요에 따라 서로의 영역을 침범할 수밖에 없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성을 잘 보여준다. 오래된 휴머니즘 자체를 공격하기 전에 자연물과 문화, 예술 간의 관계를 재조명해보는 것이 우리 시대 자연이 미술관에 들어와야 하는 중요한 명분이자 조건이 되고 있다.

The Conditions of Nature (Ecological) Art in the Art Museum 

- Siyeon KIM and Seoun PARK’s ‘Ways’


By KO Dong-yeon (Art History)



How has contemporary art portrayed nature? The notions of post-humanism or trans-humanism has been aggressively criticized and deconstructed human’s dominant status over nature conceived by classical humanism. Introspection by humans who have severely damaged nature leads to criticism of classical humanism. In this regard, I’d like to ask a question out of context. How much lower could humans possibly go? Or, how can humans desist of their anthropocentric attitude?


The question above is raised to review the way in which the artist duo Siyeon KIM and Seoun PARK, who have worked in a wide range of art genres from short experimental film to media art and photography, establish relationships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s through their recently produced media installations. The artist duo’s installations and photographs on show at the Jeju Museum of Contemporary Art such as Reve (2021) and Their Own Ways (2021) could be pigeonholed as what is commonly called ecological art. And yet, their art show in Jeju has us seriously reconsider the correlation between nature and humans. In particular, they show how nature can be perceived in distortion or refraction to some of the younger generation familiar with virtual reality. 


Works on show at this exhibition are the results made by shooting Marado, Jeju and its surroundings in photography and video while staying in the art studio for one year. These works focus primarily on signs of a human being that appear very dim in nature and the human point of view toward nature as an extension of Apartment (2019), one of their previous pieces that recorded human traces when staying at a specific site.


Their Own Ways is a detailed representation of an extremely difficult process of carrying and displaying a dead tree stump as an object in the museum. This documentary video deals with the process of carrying in the museum the stump the owner of a guesthouse located at 73, Mara-ri, Marado kept in consecutive order. This video documents the processes of bringing this dead stump into the museum space: the process of loading it on a boat to ship it from Marado to Jeju; the process as the truck arrives at the museum’s back entrance slowly describing a parabola; the process of sterilizing this stump outside the museum. What comes to my mind is that the ecological change of this deadwood will be stopped if we eradicate all insects from this dead stump.


The exhibition title Fascination of Emptiness: Correlation between Isolation and Solitude hints that for Siyeon KIM and Seoun PARK nature seems not ‘functional’ to help them heal and overcome their isolation. They present nature neither as an alternative system to resolve a problem humans face nor a medium. Their Own Ways rather follows a convention we humans have exploited and altered nature from our own point of view, quite naturally unmasking the antinomical situation where we might damage and spoil nature in order to display and protect it. Moreover, the virtual natural scenery no longer looks so strange to us.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s? And how does a contemporary art museum bring nature into its space?



A drone’s point of view of the forest: Rêve

Siyeon KIM and Seoun PARK have worked, cutting across the boundaries between nonfiction

documentary and media art as well as film and fine arts. They produced pieces on show at this exhibition as documentary film, media and video installation, photography, and photographic installation. Rêve (2021) on display on the first floor of the gallery recomposes sounds and images they gleaned from nature and then fills the entire scene by mapping them. Dotted formless images come up from the bottom like waves, gradually form a forest, and then are again fragmented. As a tree grows from a seed, trees grown from the bottom form an immense forest and then cover the entire scene. After that they are shattered into tiny dots and die away. Tiny dots forge an enormous forest and are again reduced into tiny pieces. This is suggestive of the cycles in an ecosystem.


Images and sounds in Rêve are complementable. Its scene is jam-packed with sounds after trees become dim gradually and images disappear as in Big Bang. As soon as tiny dots grow into a tree and fill the whole scene, visual information overpowers spectators in lieu of sounds. Any visual and aural snippets keep their balance, helping each other. A spectator eventually witnesses a gigantic, dynamic spectacle.


Art that fuses subject matter from media art with that from ecological art brings nature to its practice by representing forms of nature and guiding viewers to undergo changes in an ecosystem firsthand. Of course, humanity’s sensory organs play a huge role in this process. It is in the same context that 1960s hippies who desired to return to nature wanted to bring their senses to the most natural state. By the way, Rêve seems to employ all the ways of contemporary art to embrace nature through both process and result. It is in the sense that it aggressively utilizes forms of nature but intends to stimulate the viewer’s senses in pace with changes in nature. Even if the images of nature here are broken into pieces, the human subject’s perspective toward nature would not disappear to the end. Humanities scholars have recently proposed to not be oppressive or predominant over nature even if human subjectivity dies away in a positive sense. The state in which the subject loses its identity in Rêve is perhaps included in this case. The camera’s point of view, however, breaks rapidly away from a dense forest before trees in this forest are completely destroyed. The drone camera’s point of view ascends to heaven and looks down on the forest and trees. Its aerial view reminds spectators of the almighty observer’s existence.


As a result, Rêve is an example of meddling and exploring through the subject of nature. As its French title Rêve (dream in English) indicates, this work actively reflects a subject’s emotional state and viewpoint. Although it is a mapping of an outgrowth after shooting nature, it would be proper to say that this work gives rise to a new cosmos. The artists aggressively or even fictionally recreate their surrounding nature according to their intention. In 2004, the pioneering theoretician of ecological art and ecological art education Meri-Heiga Mantere put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concerned with sensuous observation and communication, rather than conveying knowledge or messages in environmental education or ecological education.1) The ultimate objective of eco-digital art or digit-eco art that combines ecological art with digital art is to lead viewers to adapt themselves to their environment.


Rêve goes with the stream of eco-digital art in that it tries to reinforce the artist and viewer’s sensory experience. And yet, the artists in this work change forms and show of their presence as observers who are omniscient and omnipotent, keeping their proper distance from an object on the edge of a forest. They completely destroy snippets acquired from nature and perfectly recompose them using digital technology. The artists’ view overlooking a forest, rather than to be buried in nature, is the viewer’s point of view.



How can we bring a natural object into the museum? Mara 73 

Nature in Siyeon KIM and Seoun PARK’s work is not merely a means to heal but also an object. That is, it is an object to reflect the creator’s viewpoint. In a sense, they see nature as an instrument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man. In this respect, Rêve is an imaginary scene reconstructed in the arena of unconsciousness like a dream.


Let’s go back to our original question. How did nature enter into the museum? Their Own Ways is a 36 minutes-long film which documents the process of moving a tree stump into the museum. All the same, the question raised by this work is not simple. It asks a variety of questions such as “What state should an artwork be in the museum?” and “Can we regard a piece of nature that is in the museum as a natural object?"

 

First, Their Own Ways does not address a natural object as a thing of worship but highlights the process of creating a precious object in the museum. Not only the artist as the observer or commentator but also the carrier and museum employee as the assistant assuming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arranging the art show appear in this work. Even the museum director watches with his affectionate eye the process of unloading the tree stump from the truck. This video kindly shows the system and situation in which a natural object is brought into the museum.


Second, an administrative process is required when they bring a natural object into the museum. Although this natural object is on display as a medium holding nature’s ‘pureness,’ this object has to meet the requirements set by the museum such as its physical dimensions. After the tree stump arrived at the museum, its lower part had to be cut in the museum yard. It was an extraordinary measure for this tree stump with its root to be brought into the museum. In addition to this, disinfectant had to be sprayed on it. This act of spraying disinfectant has a symbolic meaning. Is the stump sterilized by this disinfectant dead or alive? Is its state artificial or natural?


Third, Seoun PARK sprayed disinfectant and cut the stump while she repeatedly claimed, “The tree seems to live on as if alive.” The process after this natural object was brought into the museum is similar to the process of breathing new life into a living thing. The process of reviving an object is needed for a new life as an object in the museum. A piece is placed in front of Ascension, a video displayed as the background. The scene in which the tree stump is placed on the middle of a shelf to make Fatigue: Mara 73, Missing Pieces is suggestive of an operating room where a measurement is carried out to recover life. An illusion is generated when light touches the surface of the tree stump in Fatigue: Mara 73, Missing Pieces and when light wriggles on its surface. A dynamic effect is engendered when light falls across wood grain. Seen from a distance, we have a temporary illusion that this tree stump is alive.


The residues of nature like the readymades of Marcel Duchamp have long been in the art museum in term of art history. As is widely known, site-specific installations by the precursor of land art of the 1960s and 1970s Robert Smithson have disappeared or are in the process of disappearing. An example is Spiral Jetty, an earthwork sculpture built on the shore of the Great Salt Lake in Utah. This artwork has been losing its shape over the last 50 years as it is slowly erased by the waves, and the Dia Art Foundation had been documenting this process since the early 2000s. Before that, in 1975 Partially Buried Woodshed (1970), a rotten woodshed set on the Kent State University campus was permanently removed by mutual consent between the foundation and the university on account of a severely bad smell and problem of public security.2) That’s because this rotten woodshed aroused people’s antipathy. An attempt to use a natural object as an artwork itself is thought of as reckless. Works of contemporary art have brought into question the corporeality of art, the continuity of artistic work, and the boundary between artwork and natural object.   


If the primary objective in ecological art is to conform to streams and changes in the ecosystem and to raise questions concerning art’s manner of existence, it is not easy to answer to the question Mara 73 raises. Taking note of the long journey of the rotten stump that is named, kept, and brought into the museum in Fatigue: Mara 73, Missing Pieces, the viewer comes to realize what process or dilemma contemporary art or a natural object undergoes to meet nature or to be in the museum. Thus, Their Own Ways is a showcase of the current situation of ecological art which has to embrace nature in a human’s way or according to the museum system. In addition, it enables viewers to elementally reflect on the relation between culture and nature rather than a natural object’s pureness or rawness.



Cracks in pure nature: House and Aura Room 

 

While Siyeon KIM and Seoun PARK’s eco-digital art uses and observes nature, it does not deny any anthropocentric ideas. It is perhaps impossible for the state of ‘pure nature’ in which human hands and viewpoints are excluded. Like the last scene of Drive (2021), a video that touches on an observer’s emotional state couched in a monologue, they documented the environment of Marado, wandering from place to place. The two spheres of observer and other as well as nature and man are distinct yet close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A car running on a sloping road cannot help crossing the centerline.


On display at this exhibition are also photographs along with videos and installations. As suggested in Rêve, nature is considered to be refracted either by human consciousness or unconsciousness. Landscape photographs that looks gorgeous at first glance bring about an outgrowth when human desire breaks down the boundary between implied reality and fiction.


Marado, an island that is the setting of House and Alone has two completely different equivocal meanings. This island is crowded with travelers in a time zone where outsiders flock together. In the evening, however, Marado is shrouded in stillness and quietude. The artists address facilities like a pavilion patronized primarily by tourists. A pavilion observed from afar appears in a dim background as if a voyeur looks at the object. The contour line on the edge of a photographic scene suggests the viewpoint of an observer who looks into the camera lens. It is an effect brought about by exposure and compositeness. Some melancholic impressions such as isolation, quietude, and loneliness emphasized by the exhibit title are intensified by this natural scenery. In contrast, definitions intrinsic to documentary photography like ‘pureness,’ ‘rawness,’ and ‘reality’ die away.


The dark backdrop and dramatic lighting in House and Alone invite viewers to time travel. The specific time zone of ‘night’ as well as a sense of proper distance arouse nostalgia as a pathological state in which we adore something unapproachable. In addition, exaggerated lighting brings about an illusion that a new light emerges behind the dark in some moment. As in Sen and Chihiro’s Spiriting Away, a Japanese animated fantasy film, artificial light about a house is a symbol of pure nature which makes Marado a bizarre image, having viewers picture a polar opposite image in dark, silent nature.


Natural sceneries have long been adopted for fine art to reflect the viewer’s mental images. This is the way that human beings have long consumed nature. There is another point that assures us that ‘how to see nature’ may be one of the goals artists pursue ultimately. Aura Room (2021) is an installation using light, but the movement and refraction of light identified by viewers with their own eyes are just grasped, excluding obstacles set by the artists. The light observed through an aperture is nothing but what’s left behind after blocking our view in some degree. If nature we are looking at is part of the whole nature, Aura Room has us ponder over the way that we see nature or the way that we are forced to see nature. Is nature we see now just a mirage or an illusion? What does feeling nature mean?



Nature in the digital era: Conditions of nature art (ecological art) in our times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has kept being reversed. Now, there is a sense of crisis that we can never recover nature if we humans do not give up our own anthropocentric ideas with which classical humanism has been obsessed. In the domain of art, however, nature is both a critical source of our imagination and a significant object of love and hatr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in art is far more complicated, irrespective of the ecology movement as a social crusade. As the movement of light in Aura Room is observed through an aperture, human actions have aesthetically defined and deformed nature. And contemporary artists have attained diverse aesthetic accomplishments through this.


It would be difficult and unnecessary to distinguish fact from fiction and pure nature from deformed nature in an age in which a variety of visual products can be transformed more easily; an age in which a stream of light can be concealed or revealed artificially; and an age in which the boundary between documentary photography and art photography becomes obscured. Either non-nature or pseudo-nature enables us to newly realize the way humans have perceived or seen nature. The omniscient and omnipotent view in Rêve and the aperture in Aura Room hark back to the fact that the ways in which humans experience nature and its result must eventually be anthropocentric. Likewise, an artificial scene of Marado is the result of manifesting our desires like tourism. A beautiful yet uncanny scene in House is between light and dark, embracing a dangerous thing that exists beyond the edge of this desire.


If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should be differently established in contemporary art from other disciplines, it is to reconfirm the fact that nature we perceive is after all a reflection of our sensuous, emotional state. Siyeon KIM and Seoun PARK remind us again that nature is not an entity for humans to mend or recover but a means to unmask the condition and limitations of our perception. In Drive the wheels of a car narrowly crossing the centerline eloquently display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that inevitably invade each other’s territory. An overarching justification and condition for bringing nature into the museum is to shed new ligh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 natural object and culture or art before we attack old humanism.




-----------------------------------------------------------------

1) Meri-Helga Mantere, “Coming Back to the Senses: An Artistic Approach to Environmental Education” (2004): www.naturearteducation.org (Connects on May 20, 2021)

2) After its removal, the university left behind various records on Robert Smithson’s site-specific sculpture and uses it as an alternative measure to appreciate a natural object. Since the 1970s, documentaries on natural objects outside the museum have been a significant way to experience land art.

“Kent State Celebrates 50 Years of Early Robert Smithson’s Land Art Located on Campus,” https://www.kent-state-celebrate-50-years-early-smithson-land-art-located-campus (Connects on May 20, 2021)











고립과 고독의 연대, 

그 대상과 미적 태도

 

 변종필 (제주미술관장, 평론가)


외로움으로부터 도망치는 사람은 고독의 기회를 놓친다. 사람이 생각을‘그러모아’숙고하고 반성하고 창조하는 능력, 그 마지막 단계에서 타인과 대화에 의미와 본질을 부여하는 능력에 바탕이 되는 숭고한 조건을 잃는 것이다. 그러나 고독을 한 번도 맛보지 못한 사람은 자신이 무엇을 박탈당하고, 무엇을 버렸고, 무엇을 놓쳤는지조차 영원히 알 수 없을 것이다.1)


신체적 제약에 따라 홀로(또는 다수로) 있게 된 고립(孤立) 상황과 누군가 함께 있어도 심적으로 혼자 있는 듯 외로움을 느끼는 고독(孤獨) 상태는 2020년 이후 코로나-19로 보편적 일상이 무너진 우리에게 낯설지 않은 풍경이다. 고립은 영원하기보다는 일시적이다. 고립되었어도 누군가와 교류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언제든지 고립은 벗어날 수 있다. 하지만 고독은 다르다. 설사 사막 한가운데나 무인도에 홀로 고립되었다 해도 고독하지 않을 수 있다. 고립은 타의성이 강하지만, 고독은 자의성이 강하기 때문이다. 고독의 힘겨움은 소통의 대상이 없다고 느껴질 때 극에 달한다. 철저히 혼자 고립되었다는 것을 깨닫는 순간 외로움은 배가 된다. 혼잣말로 애써 외로움을 달래려 해도 대답 없는 허공은 혼자임을 강하게 인지시켜주곤 한다.‘함께’라는 공동의 가치를 공유할 때에는 미처 알지 못했던‘고독과 고립’, 오롯이 혼자일 때 비로소 발견하고 깨닫게 되는 고독과 고립은 결국에‘존재’를 인식하는 방식의 하나이다. 고독은 침묵의 장단(長短)에 따라 달라지는 것도, 침묵의 고저(高低)에 따라 변화하는 것도 아니다. 고독은 자신을 고립시킨 순간부터 시간을 먹고 자란다. 그 시간을 통해서 어떤 대상(상황, 풍경)을 이해하거나 낯섦이 익숙함으로 바뀌기 시작하면 고독은 사그라든다. 낯섦에서 자신을 발견하는 것. 그것은 새로운 장소에서 자신의 존재를 발견(찾는)하는 순간이다. 이것이 예술가에게 고독이 자주 소환되는 이유일지 모른다. 추사가 제주로 유배된 후 겪은 고립과 고독이‘세한도’와 같은 절대고독의 명작을 잉태한 것처럼 고독은 예술가에게 창작의 필수 조건처럼 언급된다. 창작을 위한 작가의 고독은 멋부림이나 사치가 아니다. 작가에게 창작은 언제나 고통이 뒤따른다. 육체적이든 정신적이든 작가는 고독 속에서 창작의 고통을 이겨낸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한다. 2021년 지역네트워크교류전《공(空)의 매혹 : 고립과 고독의 연대》가 코로나-19의 위협으로 많은 것이 단절된 인간의 고립과 고독을 주목한 것도 같은 맥락이며 자연스럽다. 참여작가 김시연·박서은의 고립과 고독의 연대는 두 작가가 제주를 선택한 순간부터 시작된 것이다. 인간은 누구나 선택적 삶을 산다. 강제적, 강압적 환경의 지배 속에서도 개별적 삶이 만들어진다. 누구나 같은 삶을 경험할 수 없듯이, 누구나 같은 감정과 이성으로 세상을 마주할 수 없다. 기실 어떤 것을 선택하는 순간 포기해야 하는 것들도 생겨나기 마련이다. 실제 훨씬 더 많은 것 선택 속에서 사라진다. 그리고, 포기한 것들에 관한 무관심이 깊어질수록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중요한 것들을 잃고 만다. 예술가들은 그렇게 매 순간 선택과 마주한다. 김시연·박서은은 제주에 입도한 후 작품 제작을 위해 제주 곳곳을 리서치하고 특정한 장소를 선택하거나 포기하는 것을 반복했다. 예술적 영감을 얻기 위해 선택한 자연이 쉽게 곁을 내주지 않아 만족할 만큼 카메라에 담지 못한 경우도 있었지만, 그 실패(?)의 순간들은 온전히 자연을 이해하고, 곁을 내주길 기다리는 시간이었다. 이런 인내의 쌓임 끝에 만들어진 작품들이기에 그들이 선택한 대상과 미적 태도에 주목하게 된다.

대상1 사려니 숲 

제주는 숲을 품은 섬이라 할 만큼 울창한 숲이 많다. 제주만의 숲을 상징하는 곶자왈이 곳곳에 분포되어 있듯이 제주에서 숲은 곧 삶의 환경이다. 숲을 이루는 중심은 나무이다. 한그루 한그루의 고독한 나무들이 모여 숲이 이뤄진다.

특별전시실에 설치한 영상작품 (2021)는 제주를 대표하는 사려니 숲(삼나무 숲)을 표현 대상으로 삼았다. 사려니(솔안이, 살안이라고도 함) 숲은‘신성한(신령스러운) 숲길’이라는 신역(神域)의 산명(山名)답게 숲의 기운이 가득한 곳이다. 이러한 기운은 숲속에 오롯이 혼자 머물 때, 밀려오는 고독이 깊어질수록 온몸으로 파고든다. 김시연·박서은 작가는 사려니 숲에서만 느낄 수 있는 기운을 깊은 고독 속에서 오롯이 느끼며 영상을 구성했다. 360도 실측이 가능한 3D 레이저 스캐너와 드론을 이용하여 촬영한 후 독특한 포인트 클라우드 기법으로 회화성 짙은 숲속을 연출했다. 그렇게 연출한 사려니 숲 영상을 3면 매핑하여 숲속에 있다는 착시나 착각을 의도했다. 정작 펼쳐지는 영상은 마치 신령스러운 숲을 관장하는 절대자적 시선을 따라가는 듯한 느낌을 준다. 예술가를 통해 일상에서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시점의 경험이다. 특히 시각적 몰입감과 더불어 중간중간 대화하듯 흘러나오는 내레이션은 작품의 의도를 한층 명확하게 드러낸다. '안녕 어떻게 지내?'영상 시작과 함께 듣게 되는 첫 음성은 이후 작품의 모든 장면을 주목하게 만드는 문답으로 이어진다. 평상시 사람들 사이에 흔히 주고받을만한 안부가 코로나-19의 시대적 상황과 맞물려 각별한 의미로 다가온다. 시대 정서를 대변하는 세밀한 영상은 제한적인 전시환경을 뛰어넘어 관람객을 몰입하게 만든다. 엄밀하게 자연의 힘이다.


대상 2 마라도

고독에 대한 또 다른 상징은 바로 섬이다. 사방 어느 곳을 둘러보아도 자기 발자국이 있으니 섬사람은 갇혀 있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 이것은 몸서리쳐지는 것이기도 하지만, 또한 애써 추구하게 되는 것이기도하다.2)


마라도는 최남단의 섬이라는 것부터 이미 고립과 고독이 자연스럽다. 섬 속에 섬을 품고 있는 제주, 섬 주변에 섬들이 있는 자연환경은 두 작가에게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의 고립과 고독에 관한 정의와 그 존재 의미를 성찰하는 기회가 되었다. 마라도에서의 성과는 우연히 발견한 죽은 나무뿌리‘마라 73’(작가가 붙인 이름)을 마주한 순간부터 시작됐다. 작가들은 8년 전 파도에 휩쓸려 마라도의 해변에 도착한 이후부터 지금의 모습까지에 주목했다. 특히 마라도에 갇힌 3일은‘마라 73’이 지닌 의미를 두텁게 만든 시간이 되었고, 자신들의 선택에 대한 확신과 불신의 경계를 넘나드는 상황이 반복될 때마다 오랫동안 고립되었던 '마라 73'의 운명에 동화되었다. 결국 고립의 상황이‘마라 73’의 미술관 반입 결정을 확신하는 계기가 된 셈이다.선택된 오브제는 또 한 번의 통과의례(청소, 소독, 절단)를 거쳐 미술관에 놓이게 됐다. 그렇게 탄생한 것이 (2021)이다. 여러 어려운 과정을 감내하며 미술관에 반입한 ‘마라 73’은 작가들이 작품화로 선택했던 이유와 마라 73에 부여한 의미에 관해 생각하게 한다. 작가는 선택한 오브제에 예술적 의미를 부여하지만, 그 이야기의 완성은 언제나 관객 몫이다. 전시 기간 중 작품을 감상하는 관람객 중 누군가는 뿌리 단면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에서 정교하게 매핑되는 여러 이미지가 생명을 불어넣은 것 같다고도 하고, 누군가는 그냥 신기하고 아름답다고도 한다. 작품이 누군가에게 공감을 주고 낯섦을 통해 색다른 경험과 새로운 발견을 할 수 있는 작품으로 완성(귀결)된다면 작가의 선택은 실패를 넘어선다.

대상3 정방폭포

배경으로 높은 천장고의 전시장 한 벽면을 가득 메운 폭포 영상작품 는 정방폭포의 낙하 장면을 느릿하게 연출하였다.‘높이 23m, 너비 8m, 깊이 5m’의 정방폭포는 제주 서귀포를 대표하는 폭포로‘폭포수가 바다로 직접 떨어지는 동양 유일의 해안폭포’로 유명하다. 시점에 따라 마치 하늘에서 폭포수가 떨어지는 듯한 착각을 주는 장관이 보는 이의 마음을 사로잡기 충분하다. 그러나 정방폭포는 관광명소이기 이전에 4․3의 아픈 상처를 안고 있는 장소이다. 이곳을 찾는 사람들은 정방폭포가 품은 슬픈 역사를 말하지 않는다(솔직히 아는 이가 많지 않다). 그렇게 정방폭포는 역사적 아픔의 장소를 뒤로한 채 앞바다에 고독하게 떠 있는 섬들(숲섬·문섬·새섬·범섬)에 폭포수를 흘려보낸다. 그리고 정방폭포에는 물줄기가 낙하하며 내는 소리와 떨어지는 시간만이 존재한다. 김시연·박서은 작가는 폭포의 물줄기가 역류하는 모습을 연상시키는 상승(Ascension)이란 역설적 제목을 달았으나 결국 사라져버려 자연현상(질서)을 역행할 수 없는 사실을, 과거로 회귀할 수 없는 현실을 직시하게 한다. 지나온 고독의 시간이 폭포수가 바위에 부딪혀 사라지듯 사방으로 흩어진다.


대상4 빛

공(空)은 무(無)가 아닌 채울 수도 비울 수도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어떤 것이 존재하지 않음이 공이지만, 그 공에 무언가 존재하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실재이다.’(불교의 공사상) 무엇보다 공은 인식하는 주체의 마음과 생각에 따라 존재 대상의 크기, 중요도, 질량이 결정된다. 비어 있는 공간에 어떤 것을 채우고, 또한 채워진 대상이 어떤 존재 의미를 획득하느냐에 따라 공의 가치가 좌우된다. 김시연·박서은이 생각한 빛의 세계는 공(空)에 어울리는 매혹이다. ‘공(空)의 매혹’은 두 작가의 작품세계의 핵심컨셉으로 이번 전시 전체에 해당하지만, 특별히 은 다른 영상과 사진 작품에 견주어 빛과 선이 교차하는 공간을 통해 고립과 고독의 연대를 새로운 방식으로 해석하여 접근하고 있어 새롭다. 디스플레이에 갇힌 레이저 빛은 특정한 틀에 갇혀 벗어나지 못하는‘공간에 갇힌 나’를 암시한다. 이번 전시에서 최초로 시도했다는 세밀한 기술(테크니션과 협업)은 암흑 공간 전체로 뻗어나갈 듯 힘차지만, 레이저 빛은 일정한 사각 틀을 벗어나지 못한 채 사라지고, 나타나고, 없어지는 움직임을 반복한다. 또한 전시에 참여한 4명의 작가가 4개의 언어(한국어, 영어, 불어, 일어)로 고백하는‘방 속의 방, 섬 속의 섬, 내가 있는 곳, 여기’내레이션은 고립과 고독에 관한 각각의 심정이 국적을 떠나 다르지 않음을 느끼게 한다. 살펴본대로 , , , 등 2021년의 신작들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자연 대상을 고립과 고독의 연대로 해석하여 만든 작품들이기에 그 관계성이 밀접하다. 이외 사진과 한 공간에 배치한 (2021) 과 다큐멘터리는 이번 전시작품에 관한 별도의 해설이 불필요할 만큼 작가들이 대상(자연)을 마주한 시선과 해석, 제작 동기와 과정 등을 기록하고 있다. 영상을 따라가 보면 매 순간 작업 대상을 놓고 고민하고 선택하는 작가들의 모습이 등장한다. 우연히 만난 젊은이들의 춤사위, 주인이 없는 듯 들판에 외롭게 놓인‘마라 73’을 마주한 순간과 이후 갖게 된 생각들, 마라도에 고립되어 낚시꾼들과 함께한 밤, 죽은‘마라 73’이 미술관의 전시작품으로 선택되고, 의미 부여가 되는 과정 등 지나칠 만큼 세세한 기록들이 화면을 채우고 있다. 제주에서 보낸 몇 개월 동안 철저하게 자신들의 일상을 오직 새로운 작품 제작에 몰입했던 미적 태도를 충분히 목도할 수 있는 기록들이다. 언급한 영상작품들과 더불어 이번 전시에서 주목할 작품은 사진들이다. 사진은 영상작품들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사진은 영상의 가장 중요한 장면의 일부이거나 고립과 고독의 연대를 증폭시키는 매개체로서 역할을 한다. 철저히 김시연·박서은 두 작가의 시점이 담긴 이미지들은 실제보다 더 흥미로움을 준다. 익히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대상이 전혀 새로운 대상으로 인식되는 것은 시각적 외피를 걷어내고 인간의 눈으로는 확인할 수 없는(혹은 놓친) 순간의 존재적 진실을 들춰내려는 작가적 시선과 의도가 만들어낸 세상이다. 사진작품들은 이번 전시구성의 기획의도를 읽을 수 있는 장치이기도 하다. 이번 전시는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으로 구성했는데 이것은 과거와 현재를 잇는 표현방식이며, 작품의 존재형식이다. 아날로그 방식의 사진은 표현 대상의 순간 움직임, 시간의 흐름을 결정적 시선에서 정지시켜 그 표현 존재의 절대성을 부각시켰다. 반면, 디지털 방식의 여러 영상작품은 핵심 대상의 반복적 이미지와 BGM이 어울려 각각의 내러티브를 형성하며, 그 내재적 의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무엇보다 이번 전시는 아날로그 방식의 사진과 디지털 방식의 영상을 병치 구성함으로써 한 가지 표현방식을 강조하기보다 사진과 영상(사진-영상-사진+영상-사진)이 상호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김시연·박서은 두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어떤 것의 진실은 규정되는 과정에서 왜곡되고, 감춰지고, 사라질 수 있음을 상기시킨다. 또한 지금 보고 있는 현상(현실)은 진실이 감춰진 상황이 만들어낸 가상이며 허상일 수 있음을 경고한다. 동시에 그 구분의 모호한 경계를 객관적으로 응시할 수 있는 시선을 유도하고 있다. 예컨대 가상과 실재를 한 화면에 초현실적으로 표현한(스위트홈의 외딴집 불빛, 바다 위에 떠 있는 커다란 달, 백록담의 탐사선 등) 사진작품들이 여기에 해당한다. 데리다는 우리가 어떤 대상을 미학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경계 자체에 주목했고, 아름다움의 경계를 허구로 봤다. 그는‘우리가 아름답다고 느끼는 거나 미학의 대상이 되는 것은 예술작품의 안과 밖 사이의 경계 자체이며, 이러한 경계가 곧 아름다움의 실체다’3) 라고 했다. 데리다의 시각처럼 아름다움은 언제나 의미와 무의미의 경계에 있다. 기실 아름다움뿐만 아니다. 세상의 모든 일도 의미와 무의미의 경계에 있다. 세상사가 누구에게는 의미이고, 누구에게는 무의미하다. 누군가에게 고립과 고독은 삶의 힘겨움이지만, 누군가에게는 삶을 존속하는 힘으로 작용하기도 한다.자연과 도시의 경계, 자연과 인간의 경계, 가상(허상)과 현실(진실)의 경계, 불안과 평안의 경계 등 모든 관계는 보이지 않은 경계를 갖고 있지만, 어느 순간 그 경계를 침범하거나 넘어서기도 한다. 노란 중앙선으로 경계 지어진 도로를 질주하는 의 한 장면처럼 작가들은 모든 존재의 관계는 서로의 영역을 지키면서도 때로는 서로의 영역을 내줄 수도 있음을 강조한다. 규범과 규칙을 맹종하기보다 서로의 존재를 인지하고 관계를 존중하며 살아갈 때 규범과 규칙은 자연스러워진다. 마치 자연 질서와 자연 순응처럼. 타인과의 관계나 사회적 유대를 지칭하는 수많은 개념들이 흔들리는 혼돈의 시대에 진정 필요한 것은 우리(자신)를 돌아보는 성찰의 시간이다. 결국 고독은 개인을 찾고, 발견하는 시간이다. 무한한 자연 속에서 느끼는 고독은 자신을 돌아보는 시간이며, 성장시키는 과정이다. 김시연·박서은이 제주를 선택하고, 제주의 자연을 대상 삼아 자신들만의 조형언어로 표현한 이번 전시도 이러한 과정의 일부이다. 고립 속에서 느끼는 고독, 고독을 위해 선택한 고립, 그럴 때 고독과 고립은 한 덩어리가 된다. 고독은 삶의 존재 확인이고, 그 존재는 사랑할수록 존속한다.



1) 지그문트 바우만 지음, 오윤성 옮김,『고독을 잃어버린 시간』동녘, 2019, p.21. 2) 장 그르니에 지음, 김용기 옮김,『일상적인 삶』민음사, 2012, p.183.3) 박영욱 지음,『데리다 & 들뢰즈 : 의미와 무의미의 경계에서』김영사, 2014, p.96




Correlation between Isolation and Solitude, Its Object and Aesthetic Attitude 

Byeon Jongphil (Director, Jeju Museum of Contemporary Art, Art Critic)


“Running away from loneliness, you drop your chance at solitude on the way: of that sublime condition in which one can ‘gather thoughts’, ponder, reflect, create – and so on, in the last account, give meaning and substance to communication. But then, having never savored its taste, you may never know what you have forfeited, dropped and lost.”1)


An isolated situation in which one (or many) is alone due to physical restriction as well as a solitary situation in which one feels lonely as if they are alone psychologically even though they are with someone, has been familiar to us since 2020 when our common daily life was shattered because of COVID-19. Isolation, however, is temporary rather than eternal. Even if one is isolated, they can escape this if they can interact with someone. Solitude is not like this. One cannot be lonely even if they are isolated in the middle of the desert or on an island. Isolation is incurred unwillingly while solitude is caused willingly. Solitude becomes something most powerfully touched when one feels there is no object of communication. Loneliness doubles when one realizes they are thoroughly isolated and alone. No matter how hard one tries to dispel loneliness by talking to oneself, the void in which there is no answer makes them poignantly recognize the fact that they are alone. Solitude and isolation one cannot feel when sharing common values with others as well as solitude and isolation one identifies and realizes when staying alone is a way of perceiving ‘existence.’


Solitude does not change by any height and length of silence. It grows with time from the moment one isolates themselves. Solitude dies down when one begins to figure out some object (situation, scene) or something unfamiliar is turned into something familiar over time. If you discover yourself in an unfamiliar situation, this is the moment you find your existence in a new place. That’s probably because artists have frequently adopted the theme of solitude. Like the solitude and isolation Kim Jeong-hui underwent after his exile to Jeju helped him conceive his masterworks like Sehando (Winter Scene), solitude is often regarded as one of the prerequisites for every artist. Albert Camus is quoted as saying, “What teaches us how the universe is vast is only immense solitude. Solitude is indispensible for creation.” An artist’s isolation for creation is neither a foppishness nor a luxury. If an artist is to be creative, he or she must suffer. The artist gets over the torment of creation in solitude both physically and spiritually.


The Local Network Exchange Exhibition titled Fascination of Emptiness: Correlation between Isolation and Solitude in 2021 takes note of the isolation and solitude people experienced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in this same context. The correlation between isolation and solitude attained by Siyeon KIM and Seoun PARK is thought of as being set the moment they selected Jeju as their working location.


Every human being lives a selective life. They lead an individual life even under the dominance of their coercive, oppressive surroundings. Just as people have different experiences, they face the world with different emotions and reason. One is bound to give up something at the moment they choose something. Many more options disappear when you choose. The more apathetic you are about the things you give up, the more you lose important things before you realize it. Like this, every artist confronts a matter of choice when they create.


Siyeon KIM and Seoun PARK kept researching all around Jeju, selecting or giving up specific places for their work. They sometimes found it hard to satisfactorily capture natural objects they had selected, but such a failure was an opportunity to better understand nature. Since their works are the results and products of their patience and endurance, we must pay attention to the objects and aesthetic attitudes they have chosen.



--------------------------------------------------------

1) Zygmunt Bauman, 44 Letters from the Liquid Modern World, trans. OH Yun-sung, Dongnyeok, 2019, p.21.

Object 1: Saryony Forest 



Jeju has a host of thick groves. As Gotjawal forests symbolic of Jeju’s own groves are distributed all over Jeju, the forest on Jeju is a living environment. Every forest is composed predominantly of a large number of trees. Each lonely tree gathers to form a forest.

 

Rêve, a video set in a special gallery features the Saryoni Forest (redwood forest) representative of Jeju. The Saryeoni (also called ‘Solani’ or ‘Salani’) Forest is a site replete with the aura of ‘a sacred (divine) forest trail.’ This aura filters deep into the whole body when one’s loneliness becomes intense due to staying in a forest alone. Siyeon KIM and Seoun PARK have constructed a video, feeling the aura the Saryoni Forest emanates as a whole. They represented a forest scene in their own unique cloud point technique after shooting scenes with a drone and using a laser 3D scanner. They intended to bring about an optical illusion or the illusion that the viewer is in a forest through video mapping. This video gives the sensation that the viewer’s eye presides over this forest. This video work provides a new point of view the viewer didn’t have in daily life. The conversational narrations in the middle alongside a visually immersive nature reveal this work’s intention.

“Hello. How are you?”

The first voice we hear at the beginning of the video leads to questions and answers that make the viewer pay attention to every scene. Asking after each other comes to mean a lot, associated with the currently on-going COVID-19 situation. This detailed video representing the emotion of the times is absorbing, transcending any exhibition limitations. Strictly speaking, this is made possible by the power of nature.



Object 2: Marado 


“Another symbol of solitude is the island. Islanders usually have a sensation that they are locked on an island because they could only see their footprints even if looking all round their surroundings. This makes us shudder but is also what we have strenuously sought.”2)


As Marado is an island in southernmost South Korea, any image of solitude or isolation is quite natural to this island. Jeju’s natural environment with islands around it served a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relation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s, the definition of solitude and isolation, and the significance of its existence. A chance discovery of a dead tree root (named Mara 73 by the artists) resulted in an accomplishment in Marado. The artists paid attention to its transformation from its arrival at the seaside of Marado eight years ago to the present. Three days during which those artists were locked up in Marado was a time to reinforce the meaning of Mara 73. Isolated in the island, they underwent sleepless nights while crossing the boundaries of belief and disbelief. After all, a state of isolation served to decide to carry this tree root in the gallery. This object selected in this way was placed in the gallery after going through a rite of passage (cleaning, disinfection, cutting). This eventually gave rise to Fatigue: Missing pieces.


--------------------------------------------------

2) Jean Grenier, Daily Life (La vie quotidienne), trans. KIM Yong-ki, Minumsa, 2012, p. 183.



Mara 73 was carried in after overcoming a difficult process. This leads us to the reason why they adopted this object for their work and the meaning they lent to this. The artists impart artistic meaning to this object but its interpretation and completion depend upon spectators. Some spectators say a variety of images that are precisely mapped seem to be breathed into with life while others allude that this is just marvelous and exquisite. If a work of art provides sympathy for someone and leads them to a novel experience and a new discovery, their practice is not a failure.



Object 3: Jeongbang Waterfall 



Ascension covering fully over one wall of the gallery with a high ceiling in the background of Fatigue: Missing pieces which is a representation of the Jeongbang Waterfall slowly descending. The waterfall is 23 meters high, 8 meters wide, and 5 meters deep and is well-known as the only fall in Asia where water falls directly into the sea. Its magnificent sight brings about an illusion that water seems to fall from the sky depending on the optical angles and is enough to captivate the viewer’s heart. The waterfall is also known to be a location fraught with scars caused by the Jeju uprising rather than merely a tourist attraction. No visitors speak about its sad history (In fact, not many visitors know this.) The fall lets its water flow into islands (Soopseom, Moonseom, Saeseom, Beomseom) standing lonely offshore, hiding its historical pain. Only sound made by the falling of streams of water and time exist at the waterfall. The artists have us face an irreversible fact and reality that we cannot go back to the past despite its paradoxical title Ascension reminiscent of flowing against the current. The time of solitude scatters in all directions like water that dies away when it strikes a boulder.



Object 4: Light



Void or the primal emptiness is not absolute nothingness but refers to a space that can be filled or emptied. ‘Void is any sort of nothingness but if something exists in the void, that is reality (the concept of void in Buddhism). An object’s size, importance, and mass in void are decided depending on a perceiving subject’s mind and idea. The value of emptiness is thoroughly dependent upon what is filled in an empty space and what meaning of existence a filled object obtains. The world of light Siyeon KIM and Seoun PARK contemplate matches this concept of emptiness. Even though the ‘fascination of emptiness’ is both the cardinal concept of their work and the premise of this art show, Aura Room approaches the concept ‘the correlation between solitude and isolation’ in a completely new fashion, adopting the space that light and line cut across. Laser light trapped in a display panel stands for ‘me confined to a space’ or one who is locked up in a specific frame. The exquisite technique applied to this exhibition (in collaboration with a technician) seems pervasive in the whole space of blackness while laser light repeats its movement of disappearing and appearing, trammeled to a certain square frame. The statement by four participating artists in four languages (Korean, English, French, and Japanese), ”a room within a room, an island within an island, a place where I am, here” makes us think that what each artist feels about solitude and isolation is different, regardless of nationality.


As reviewed above, their 2021 pieces such as Reve, Fatigue: Missing pieces, and Aura Room are organically connected to one another. There is a close affinity among them since these works were all produced, interpreting natural objects, based on the concept of the correlation of solitude and isolation. The documentary films like Their own ways and Drive displayed in the same space alongside those photographs document the artists’ viewpoint, interpretation, production motive, and process sufficiently enough to not require any further commentary. The artists seriously consider and select what objects appear in the videos. The videos’ scenes cover overly minute records such as the dances of young people they came across by chance, the moment one faces Mara 73 that is placed alone in a field, ideas they had afterwards, nights shared with anglers who are isolated in Marado, and the process of how they chose Mara 73 for their exhibit. These are records to suggest their aesthetic attitude of being absorbed in producing new pieces for a few months in Jeju.


Also noteworthy, there are photographs on display at this art show. These photographs are inextricably bound up with the videos mentioned above. They work as a medium to amplify the correlation between solitude and isolation as part of the most critical video scenes. Works by the French artist Ariane CARMIGNAC and the Japanese photographer Daiju SATO on show at this exhibition are included in this case. Images that thoroughly capture Siyeon KIM and Seoun PARK’s point of view are of more particular interest than the real. These pictures are also a device to comprehend the purpose of curating this exhibition. This exhibition features pictures and videos produced both in the analog and digital mode. Photographs in the analog mode give prominence to subject matter’s absoluteness by temporarily stopping the stream of time or its movement from the decisive point of view. In contrast, videos in the digital mode forge respective narratives through the cardinal object’s repetitive images in accord with the background music, amplifying its intrinsic connotation. In the exhibition photographs and videos (photograph-video-photograph+video-photograph) are complementarily laid out through the juxtaposition of analog pictures and digital videos instead of highlighting just one mode of expression.


The two artists remind us in this exhibition that some truth might be distorted, concealed, or weakened in the process of defining and identifying it. They also warn of an aspect (a reality) we notice now might be a virtual or false image generated by a situation. They induce viewers to gaze objectively at a blurred boundary of distinction. Their works representing this aspect are photographs that are surrealistic portrayals of virtual and real images (the light from an isolated house, a big moon on the sea, a space probe on Baekrokdam). Jacques Derrida takes note of a border itself in which we perceive something as the object of aesthetics and thinks of the border of beauty as a fiction. He asserts that what we feel is beautiful or what becomes the object of aesthetics is the boundary between what is inside and outside art, and this boundary itself is the substance of beauty. As Derrida alludes, beauty is always on the border between the meaningful and meaningless. Everything in life is also on the border between meaning and meaninglessness. An affair is meaningful to one but meaningless to the other. Solitude and isolation are thought of as hardship in life for someone but work as the strength to maintain life for others.


Every relation has an invisible border; the border between nature and the city, the border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s, the border between imagination (false images) and reality (true images), and the border between anxiety and peace, but it invades or crosses that border at some moment. Like a scene from Drive in which one drives down a road with the boundaries drawn by a yellow centerline, Siyeon KIM and Seoun PARK stress that everyone may hand over each other’s territory while keeping their own territory in their relationships. Rules and regulations become something natural when everyone recognizes one another and respects their relations rather than blindly obeying them, like nature’s order and adaptation to nature.

What’s truly needed is a time of introspection in the era of confusion in which a host of concepts pertaining to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social relations are shattered. Solitude is eventually a time of exploring and finding an individual. The solitude one feels in the infinitude of nature is a time of looking back on oneself and the process of growing up. This exhibition in which Siyeon KIM and Seoun PARK choose Jeju as their site for working and present Jeju’s nature couched in their own artistic idioms is also part of this process. Solitude and isolation become one and the same when one feels solitude in isolation and selects isolation for solitude. Solitude is an identification of one’s existence. The more one loves, the longer it survives.







  

[i] Meri-Helga Mantere, “Coming Back to the Senses: An Artistic Approach to Environmental Education” (2004); www.naturearteducation.org (2021년 5월 20일 접속).

[ii] 물론 철거된 이후 학교 측은 이제는 사라진 스미드슨의 장소특정적 조각에 관한 각종 기록을남겨 놓고 사라진 자연물을 감상하는 대안적인 방편으로 사용하고 있다. 1970년대부터 미술관 밖 자연물 예술에 대한 다큐멘터리와 기록물이 쉽게 경험할 수 없는 대지예술을 경험하는 중요한 방법으로 자리잡았다. “Kent State Celebrates 50 years of early Robert Smithson Land Art located on campus,” https://www.kent.edu/kent/news/kent-state-celebrates-50-years  -early-smithson-land-art-located-campus (2021년 5월 20일 접속). 

     



Artist Statement


1. 

“<우리>는 의심과 불안을 키우지. 

착각의 카테고리에서 대화는 일방적이거나 폭력적일 수밖에. 

그런 <너>를 그냥 두고 볼 수는 없어.“   




여기서 ‘우리’는 사람들이고 ‘너’는 사람들이 키우는 사회이다. 노래 가사처럼 생각을 간단히 전달하는 방식을 습득하려고 하고 있다. 아마도 이 방식은 이미지에도 같은 방식으로 적용될 것 같다.

결국 작업은 현상을 관찰하고 드러난 모습을 확대하거나 편집하고 그렇게 우리는 어떤 우리만의 언어로 대화를 시작하고 일방적이지 않은 형태의 문답을 찾아가고 있다. 

  자연의 모습에는 시각적으로 정의 내려지지 않는 두려움이 있는데. 그 두려움은 출발선을 모르기 때문에, 무지로부터 파생된 더 큰 공포를 만들어 내고 상상의 이미지는 더 커져서 또 다른 형태의 불안함을 전파시키는 과정을 반복한다.


2009년 발표한 [Tremblement_파장 진동]은 기괴함을 연상시키는 세계를 다뤘다. [파장, 진동]은 2채널 비디오로 표현하였으며 안느 발드사리(전 루이비통 재단 미술관 수석큐레이터, 전 피카소 미술관장)은 깊은 공감을 표한다는 평가를 했다.


김시연과 박서은은 불안과 의심, 두려움이라는 키워드에 집중한다. 작품에서 드러나는 서사와 내러티브, 수집한 이미지는 도시인의 소외, 외로움, 믿음과 불신, 착각의 커뮤니케이션에 집중한다. [A quiet life]와 [인형의 집], [Terra] 등의 작품은 사라지는 것들에 대한 인간의 무감한 감정과 슬픔에 대해 말한다. 


[시티리듬]은 25개 스피커를 연결, 2.5m 지름의 원통형 나무 스피커를 설치. 관객의 동선에 따라 사운드가 섞이는 반응형 제작물로 3면 스크린으로 투사한 시티리듬의 가운데 위치에 설치했다. 미디어 전시에, 비디오 사운드로 연결되는 몰입형 융복합 전시였다. 서울의 25개 행정구에서 담아낸 소리가 규칙 없이 쏟아진다. 이 소음은 일상의 회화 같은 것이어서 지하철을 타거나 버스를 타거나 이동을 통해 쏟아지는 개인적인 목소리가 아무렇지도 않게 툭 튀어나오기도 한다. 이때 우리는 익명의 사적 공간에 잠시 발을 들여놓게 된다. 사람들의 이동거리, 이동좌표 같은 숫자가 우주의 별처럼 무수하게 쏟아지는 데이터를 시각화했다. 데이터가 <이동>이라는 특정이미지로 표현될 때, 이미지의 동선은 사회적 공동체의 공간, 동네를 연상시킨다. 작품은 마무리 단계에서 3D 스캐닝을 활용한 혜화동의 골목길 끝으로 들어간다. 관객을 전혀 다른 공간 안으로 이입시켰다. 그곳은 도시인에게 익숙한 장소이지만 동시에 이면의 장소이다. 익숙하지만 낯선 공간에서 우리는 길을 자주 잃어버린다.


2016년부터 3년간 추적한 사적 다큐멘터리 필름 [아파트 : 도시의 욕망, 삶]에서는 시티리듬에서 선보인 모든 감정을 그대로 가져 왔다. 둔촌동 주공아파트라든가 서울의 재개발 특수 공간을 들여다보았다.

심리적인 가치로 기억되는 장소는 공간 안에 같은 이유로 존재하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한다.



2. 

우리는 어떻게 존재하게 되었을까? 왜 여기에 있는 걸까? 

가장 단순한 사물과 가장 복잡한 사물. 모든 반복된 삶의 일치에 관한 소고를 통해 

우리는 순환고리를 찾아냈어. 

[확장과 확산, 소외 그다음은 소멸]


이동의 기록 이주의 역사에 대해 꽤 많이 질문한다. 가만히 들여다보다가 확장되고 확산되는 순서 뒤에는 정체, 고립 소외 그리고 그다음은 소멸되는 순환고리를 발견했다.

 

의심하고 그 마음이 커지면 불안해지고 그리고 어느 순간 내가 서 있는 곳이 그 장소가 과연 이 공간 안에 있기는 한 것인지 또 의심이 생기고, 불확정의 반복 속에서 우리는 살아간다. 이렇게 시간이 교차하는 곳에 우리가 의미를 짓는 장소가 있다. 그 공간은 간혹 가상의 세계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항상 실제의 세계에서 비롯된다. 불안한 마음이 머무는 곳을 찾아가고 있다. 경계의 공간. 가상의 실제의 영역이 흐트러진 공간을 이미지와 설치의 중첩을 통해 경험하는 시간과 공간을 구성하려고 한다.

 

2021년 이 생각의 연장선에 세운 주제는 [공의 매혹]이었다. 이 작업에서 집중했던 키워드는 ‘이동과 고립의 대립’이었다. 삶은 팬데믹 구조와 함께 새로운 구도로 전개되고 있다. 이미 오래전부터 고립이 익숙했던 사람들(프리랜서 작가라든가)은 어느새 그 고립을 상당히 깊게 이해하고 있는 다수로 존재하게 되었다.

바이러스가 전 세계를 잠식한 때, 이 프로젝트의 질문은 ‘섬’처럼 존재하는 사람들이었고, 이 질문을 제주에서 던져보았다. 일곱 개의 프로젝트로 구성된 제주현대미술관에서의 전시 [고립과 고독의 연대]는 이동과 고립의 경계가 주는 허무함에 집중했다. 이동의 분주함이 주는 공허함에 대한 질문도 놓치지 않았다. 불안과 의심, 불신과 착각의 테마와 시간과 장소를 연결하는 이미지가 설치, 영상, 사진, 가상의 이미지로 소개되었다.

[숲이라는 이름에 묻힌 나무]는 실감형 미디어 전시로 연장 전시했으며, 70초 이미지로 표현한 가상의 숲, [산책]은 2022년 중앙미디어공모전에서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했다.



3.

낯선 공간이 익숙한 시간으로 연결되면 그곳은 더 이상 낯선 곳이 아니야.  

완벽한 위장, Camouflage. 착각의 시선 

하지만 ‘너’를 제대로 보아줄게.


우리의 작업은 고립되어 있지만 동시에 어떤 시간, 장소 대상에 완벽하게 연결되어 있다.

작은 소음들이 연결되는 순간 상대의 공간, 그 시간의 정서를 이해하게 된다. 삶의 공간은 각자의 칸으로 나뉘고 구분되어 있지만 소리로 연결되어 있다. (아파트 거주자들이 소음에 민감한 것은 내 영역을 소리로 침범 당했기 때문이다) 그렇게 우리는 이미지로 서로의 감성, 상황을 침범하고 들여다본다. 동시에 그렇게 우리의 속내를 내보인다. 형태는 점으로 구성되지만 완벽한 밀도감을 자랑하는 실사 이미지보다 더 큰 상상을 끌어낸다. 착각이 만들어내는 가상의 이미지는 상상의 선물.


낯선 장소, 장흥에서의 작업은 가상의 공간, 상상의 시간을 프레임 안에 넣는 과정이 될 것이다.

완벽한 위장, Camouflage. 착각의 시선을 만들어내는 새로운 시간과 공간

‘너’라고 이름 지은 <우리가 사는 이곳>을 제대로 마주 보는 연습을 매일 한다.

  

달이 밝다. 달마 저도 꽉 찬 달의 모습을 숨기고, (서로의 궤도, 거리의 차이, 시선의 착각을 통해) 위장술을 완성한다.

그러므로 그믐달의 모습을 한 채로 다가오는 ‘너’를 제대로 마주하기 위해 우리는 눈을 크게 열고 오늘도 착각하지 않기 위해, 혹은 즐거운 시선의 착각을 위해 더 가까이 다가가기로 한다.